『도시재생 사업지역의 주민생활 및 상권변화』발간
도시재생사업 이후의 양적, 질적인 마을 변화상 분석
최근 몇 년간 전국이 도시재생사업으로 분주하다. 2010년 이후 부산 시내 전역에 도시재생사업이 활성화하면서 쇠퇴한 소지역 단위로 마을만들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이 6년째 접어든 도시재생사업이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지 마을의 다양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짚어보고 대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부산판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첫 보고서인 셈이다.
부산발전연구원(원장 강성철)은 18일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된 마을의 상업적 변화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일어나고 있는지와 함께 주민생활의 변화를 살펴보는『도시재생 사업지역의 주민생활 및 상권변화』(연구책임 김형균 선임연구위원) 보고서를 냈다고 발표했다.
마을의 상업화와 주민생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마을별 핵심구역으로 판단되는 ‘통’을 조사대상 구역으로 설정했다. 조사단계마다 주민이 직접 함께하는 ‘주민참여형 조사’를 실시해 보다 현장 중심적 내용을 반영코자 했다.
부산에서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된 곳들 중 대표적 주거지역인 사하구 감천문화마을, 동구 안창호랭이마을, 동구 이바구문화마을(이바구길), 영도구 흰여울문화마을을 대상으로 원주민, 방문객, 전문가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마을의 변화상을 관찰했다. 마을의 정량적?정성적 변화에 대한 정보가 눈길을 끈다. 거주 인구 추세, 주택 및 토지가격의 변화, 소규모 자영 점포수 변화 등 미세한 마을의 변화상을 기록해 각 마을의 활성화 단계를 분석?정리했다.
조사에 따르면 감천문화마을은 지난 5년 동안 주택가격(표준주택 공시가격 기준)이 21.4% 상승했다. 5개였던 상가가 55개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관광객은 130만명으로 400배 이상 폭증했다. 이는 과잉 상업화의 초기단계로, 시급한 제도적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나아가 급속히 증가한 외지 상인, 마을의 특성과 무관한 상가의 난립, 주민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프랜차이즈형 상가 등으로 인해 공동체적 마을 분위기의 훼손이 우려된다. 안창호랭이마을이나 이바구문화마을, 흰여울문화마을 등은 아직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사전에 과잉 상업화에 대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정적인 측면을 예방하기 위해 현재의 마을상태를 밀착 관찰해 각 마을의 상업화 과정에 맞춰 장?단기적 보호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연구책임을 맡은 김형균 선임연구위원은 “당장의 현안적 대처와 중장기적인 공동체 복원과 상권 활성화가 공존할 수 있는 전략과 세심한 정책기법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장?단기적 정책과제를 마을상업화 과정에 맞춰 상업형 보호방안, 도시관리형 보호방안, 공동체형 보호방안 등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눠 총 20가지 정책구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특히 마을 전체를 ‘골목문화 상생상권지구’로 지정하는 방안이 관심을 끈다. 조례에 기반한 협약을 통해 주민? 상인 등이 상생협약을 맺게 된다. 이를 통해 권리금?전세금의 과다인상 조정, 유해업종이나 프랜차이즈 점포 유입 차단, 주민을 위한 수익금 환원 등의 다양한 상생적 협약 방안이 나올 수 있다.
이처럼 과잉 상업화에 대응하는 상업적 보호방안 뿐 아니라 도시 공간 및 시설의 도시관리적 수단을 통한 도시관리형 보호방안, 공동체의 커뮤니티 유지를 위한 공동체형 보호방안 등 다양한 장단기 구상들이 현실적이고 필요한 제안들로 주목을 끌고 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