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부채 6181만원…전년비 2.2% 늘어
부동산 경기 활성화로 주택대출 늘며 가계부채 증가
가계 재무건정성도 악화…금융부채, 가처분소득 넘어
[ 김주완 기자 ] 올해 가구당 평균부채가 지난해보다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시장이 살아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부채 가구의 70% 이상은 원리금 상환이 어렵다고 답해 가계의 부채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당 부채 6181만원
21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 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부채는 6181만원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130만원(2.2%) 증가했다. 전체 부채 증가 폭은 지난해(2.3%)와 비슷하지만 금융부채는 크게 늘었다. 4321만원으로 작년 대비 203만원(4.9%) 증가했다. 지난해 금융부채 증가율(3.0%)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올해 금융부채를 구성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이 81.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용대출(14.9%), 신용카드 관련 대출(1.2%) 등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주의 부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4406만원 【?올해 4785만원으로 379만원(8.6%) 늘었다. 이는 은퇴 준비가 부족한 노년층이 빚으로 생계를 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30세 미만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작년 11.2%에서 올해 1.7%로 크게 감소했다. 30대 가구도 7.0%에서 1.3%로 줄었다.
◆가처분소득보다 많은 금융부채
부채가 증가하면서 가계의 재무건전성도 악화됐다. 가계부채 위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 비율’은 지난해 20.3%에서 24.2%로 높아졌다. 소득이 100만원이면 25만원을 빚 갚는 데 썼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01.1%로 100%를 넘어섰다. 쓸 수 있는 돈보다 금융부채가 더 많다는 얘기다. 실제 부채를 진 가구들은 빚 부담이 크다고 느꼈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대답한 가구는 70.1%였다. 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는 지난해 6.9%에서 7.1%로 증가했다. 주환욱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장은 “금융부채 증가율(4.6%)보다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14.6%)이 높고 분할상환 정책이 자리잡으면서 가계부채 구조가 개선되고 있어 크게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에 새로운 가계부채 통계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내놓은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보다 정확성을 높여 부채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국세청, 금융위 등의 각종 부채 관련 행정 통계를 활용하고 설문조사 대상도 확대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가계금융·복지조사는 3월에 실시하고 12월에 발표해 현실을 제때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어 새로운 통계는 분기별로 峠Η求?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