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구의 교육라운지] 평가홍수 시대의 대학…대학평가를 구조조정하자

입력 2015-09-18 14:19
수정 2015-10-01 22:49
교육은 대한민국 모든 사람의 관심사입니다. 조기교육, 영재교육부터 초·중·고교, 대학, 평생교육까지 교육은 '보편적 복지' 문제가 됐습니다. 하지만 계층과 지역간 교육 인프라와 정보의 격차가 존재합니다. 한경닷컴은 다양한 교육 문제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김봉구의 교육라운지'를 연재합니다. 입시를 비롯한 교육 전반의 이슈를 다룹니다. 교육 관련 칼럼과 독자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Q&A 등을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대학평가의 계절이다. 최근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의 세계대학평가 순위가 발표됐다. 올해 처음으로 200위 내에 국내 대학 7곳이 진입했다. 곧 타임스고등교육(THE)의 세계대학평가 결과도 나올 예정이다. 모두 국내 주요대학이 심혈을 기울이는 순위다.

앞선 지난달 말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가 나왔다. 하위 15%를 걸러내는 방식에서 올해부터는 A~E등급을 부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평가명에서 유추되듯 등급별로 차등 정원감축 조치가 뒤따른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선제적 대응과 부실대학 정리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 평가뿐이 아니다. 앞뒤로 한국대학평가원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와 로이터통신 선정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 100곳의 순위가 나왔다. 각각 대학의 기본요건과 질, 학술논문과 특허등록 수를 잣대로 대학을 평가했다.

QS·THE 평가가 높은 순위를 받는 게 목적이라면 구조개혁평가는 하위 등급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대학들은 전·후방 압박에 모두 대응해야 한다. 어차피 한쪽만 잘 대처하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아예 순위가 높으면 컷오프 탈락은 걱정할 이유가 없고, 반대로 컷오프 통과에 성공하면 자연히 순위도 어느정도 올라갈 테니까 말이다.

그런데 현실은 좀 다르다. 예컨대 구조개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은 강원대나 고려대·홍익대 세종캠퍼스, 건국대 글로컬(충주)캠퍼스 등은 다른 평가에선 평균 이상의 성적을 낸 대학들이다. 달리 말하면 전·후방 양쪽의 압박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셈이다.

여기에 각종 인증, 세부 분야 평가까지 촘촘하게 배치됐다. 국책사업 타이틀을 단 평가의 가짓수도 만만찮다. 여러 명목으로 대학을 선정·지원하는 정부 재정사업 대부분이 일종의 대학평가라 할 수 있다. 이른바 ‘대학평가 홍수 시대’다. 대학마다 평가 대응부서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자칫 삐끗했다간 각종 평가 사이에 낀 샌드위치가 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대학평가가 도리어 대학의 발목을 잡는다는 목소리마저 나온다. 대학은 상아탑이어야 한다는 얘기를 하는 게 아니다. 수많은 대학평가에 대응하기 위해 교수가 행정력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대학 경쟁력은 본질적으로 교수의 경쟁력에서 나오는데, 학술연구와 학생교육에 전념해도 시원찮을 교수들이 서류작업?많은 시간을 뺏기는 실정이다.

평가의 내용을 뜯어보자. 대학평가 주요지표 중 하나가 연구실적이다. 때문에 교수들은 논문 쓰느라 연구실에 틀어박힌다. 학생들이 사회와 산업 현장에서 통하려면 어떻게 가르칠지는 뒷전으로 밀린다. 그렇게 해서 논문을 제대로 써냈을지도 미지수다. 논문실적 채우기에 급급해 연구의 실제 쓰임새에 대한 고민은 생략하곤 한다. 당장 성과가 나오지 않고 오랜 기간이 필요한 연구는 외면하기 일쑤다. 모두 서울대 연구처장을 지낸 교수의 입에서 나온 지적이다.

이런 점을 생각하면 로이터마저 대학평가 시장에 뛰어든 것은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안 그래도 ‘평가 민감증’을 앓는 국내 대학들이 소위 ‘평가 장사’의 봉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해외 대학평가기관의 수입원 중 한국 대학 지분이 높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렇다면 대학구조조정뿐 아니라 이제 대학평가의 구조조정도 고민해야 할 시점 아닌가 싶다. 콜레라 시대에도 사랑을 하듯 평가 홍수 시대에도 대학은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평가 자체의 순기능을 살리기 위해서도 선택과 집중은 필요하다.

방법론적으로는 실용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평가 잘 받으려면 논문을 많이 써야 한다’는 인식이 한국 대학을 지배해 왔다. 그래서 늘 연구가 강조됐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대다수는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한다. 교수의 기본 책무 중 연구 못지않게 교육의 비중을 끌어올리고, 이를 의미 있게 평가해 반영하는 방향이 돼야 하지 않을까.

[피자 시장 '지각변동'…도미노피자 '1위'로 도약] [대학서 '혁신수업' 받는 지방이전 공기업 기러기족] [신동빈 "면세점은 롯데가 세계 1위 될 사업…도와달라"] [현대차가 밝힌 신형 아반떼 고객 반응은?] ['배달음식' 수수료 없다?…'아직 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