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이 국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사상 초유의 연 1%대 초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예·적금 상품과 채권에 대한 매력도는 떨어졌다. 국내 주식시장도 출렁이고 있다. 국내 대표기업의 2분기 실적이 지지부진했고, 대외 증시 여건도 악화됐다.
더 높은 수익과 다양한 기회를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게 자연스러운 상황이 된 것이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투자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3월 말 내국인이 보유한 해외 증권 규모는 2177억달러로 2013년 말(1688억달러) 대비 28.9% 증가했다.
하지만 선진국 주요국에 비하면 여전히 ‘우물 안 개구리’일 수 있다. 한국의 전체 주식 투자액에서 국내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웃돈다. 국내 주식 투자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이다. 분산 투자를 위해서도 해외 투자 비중을 높여야 할 때다. 다양한 해외 자산 투자 상품이 있으니 입맛에 맞게 고르고, 환율과 세금 이슈도 꼼꼼히 따져야 한다.
해외 투자 과정 세 단계
해외 투자의 진행방식은 세 단계로 나눠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첫 단계는 글로벌 경제 변수와 투자환경, 환율흐름 등 거시적인 변수들을 고려해 투자국을 선별하는 것이다. 이 작업을 마쳐야 투자범위를 좁힐 수 있다. 선택한 국가에서 유망한 업종과 종목 등을 고르는 작업도 필요하다. 두 번째는 직접 주식을 매매할 것인지, 주식보다 투자 절차가 간편한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 랩어카운트 등을 이용할지를 고르는 단계다. 현명한 선택을 위해 경제전망, 글로벌 시황, 관심 있는 해외상품과 운용사 등 정보를 수집하고 학습해야 한다. 정보 수집을 위해 국내 증권사들이 운영하는 야간데스크를 활용하는 게 좋다. 야간데스크는 국내와 시차가 많이 나는 미국 유럽 등의 투자 자산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선정한 투자 상품의 변수를 점검하는 것이다.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경우라면 개별 ETF의 유동성, 운용보수, 괴리율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HTS·ETF·랩어카운트 입맛 따라
해외 투자하면 흔히 펀드를 떠올린다. 하지만 직접 투자부터 ETF, 랩 어카운트까지 다양한 대안들이 있다. 최근엔 개인투자자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가 활발하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 결제금액은 2013년 72억원, 지난해 1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87억원으로 늘어났다.
해외주식은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누구나 쉽게 거래할 수 있다. 투자 대상은 미국과 중국 주식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최근에는 유럽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해외주식 매매는 현지 통화로 거래하기 때문에 미리 통화를 환전해 준비해야 한다.
해외 ETF(해외에 상장된 ETF를 통칭)를 매매할 수도 있다. 미국 ETF는 투자 대상이 다양하고 주식 거래도 활발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 미국 ETF 시장 규모는 지난해 말 약 1조9225억달러로 세계 ETF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8%에 달했다. ETF 투자는 환급성이 높고 수수료가 저렴하며, 운용방식이 투명하다는 강점이 있다. 미국 주식을 거래해 본 경험이 있는 투자자들은 큰 어려움 없이 ETF를 활용할 수 있다.
직접투자는 부담스럽고, 펀드보다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고 싶을 땐 일임형 투자서비스인 랩어카운트에 가입하면 된다. 검증된 투자 전문가들이 시장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정 주식이나 ETF와 달리 랩어카운트는 여러 국가에 분산 투자하고 여러 개의 펀드를 담아 운용해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랩어카운트 상품은 펀드처럼 비교할 수 있는 공시 사이트가 없다. 개별 투자자가 각 증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상품을 비교해야 한다. 상품을 살펴보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증권사와 랩을 선택하면 된다.
환율·양도소득세, 꼼꼼히 따져야
해외에 투자해야 할 때는 유의할 점이 많다. 첫째, 환율 흐름과 증시 제도를 파악해둬야 한다. 최근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 대외 악재가 겹치면서 주요국 환율이 일제히 출렁이고 있다. 자산 가치 등락보다 환율 리스크가 투자 수익을 판가름하는 결정적 요인일 수 있는 만큼, 환율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증시의 상·하한가 기준과 매매 단위, 거래소 휴무일 등도 사전에 파악해둬야 한다. 예를 들어 국내 주식시장은 최소 주식 매매단위가 1주지만 홍콩과 일본 주식시장은 종목마다 최소 매매단위가 100주에서 2000주로 다양하다.
둘째는 세금이다. 해외 주식에 투자해 매매 차익이 발생하면 22%(지방소득세 포함)의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양도소득세는 다른 소득과 합산 과세되지 않고 분리과세로 잡히기 때문에 종합소득세율이 22%보다 높은 투자자들에게는 절세효과가 있다. 배당금을 받는 경우엔 국내 세법에 따라 15.4%(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랩어카운트에 투자했다면 환매할 때 일정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환율과 현지 거래소 사정 및 환전처리 결과에 따라 출금 가능일이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살펴야 한다. 예컨대 신흥국 자산을 원화로 바꾸려면 해당국 통화를 달러로, 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꾸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양충무 < 삼성증권 연구위원 cm1.yang@samsung.com >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