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ERI 경영노트] 중국의 20대 '주링허우'…그들을 알아야 성과 낼 수 있다

입력 2015-08-21 07:00
전재권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20대는 한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주역이다. 세계 거대 소비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20대의 가치관은 중국의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를 보는 창이다. 중국 20대는 ‘주링허우(九零後)’라고 불린다.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소황제 소공주 대우를 받으며 자랐다. 기성세대와 다른 가치관과 생활 습관으로 중국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 성장의 혜택을 누리며 자라 소비지향적이고, 외국 문화에 개방적이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알려졌다.

중국 20대의 가치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전 세계 50여 회원국에서 시행되는 글로벌 종합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뒤 개인, 가정, 대인관계, 사회, 세계의 5개 영역으로 재구성하고 한국 20대와 비교했다. 지역별 차이를 보기 위해 중국의 정치 중심지인 베이징과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 한국의 서울 등으로 세분화했다. 점수는 전체 응답자 중 ‘그렇다’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인원의 비율인 ‘긍정 응답률’로 산출했다.

중국 20대의 미래에 대한 긍정 응답률은 85%로 한국 20대(81%)에 비해 희망적이다. 지역별로는 상하이(91%)가 가장 높았고, 베이징(84%), 서울(77%) 순이었다. 도전하는 삶에 대한 선호도 중국이 60%로 한국(51%)보다 다소 높았다. 마찬가지로 상하이(77%)가 가장 점수가 높았고, 베이징(57%)과 서울(50%)은 비슷한 편이었다.

결혼에 대해선 양국 공통적으로 결혼을 하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절반에도 못 미쳤다. 중국이 44%, 한국이 45%다. 특히 상하이가 22%로 가장 낮았다. 이혼에 대해서는 중국 20대가 47%로 한국(24%)에 비해 긍정적인 반면 동거에 대해서는 한국 20대(36%)가 중국(30%)보다 더 개방적이었다. 특히 서울은 56%가 긍정적이었다. 육아의 경우 ‘육아가 삶의 가장 큰 기쁨’이라는 인식은 중국이 96%로 높았고, 한국은 65%였다. 원인을 살펴보면 ‘자녀가 부모의 자유로운 생활을 제한한다’는 인식은 양국이 비슷했지만, ‘경제적 부담’(중국 37%, 한국 49%)과 ‘경력 기회 상실에 대한 부담’(중국 34%, 한국 54%)을 한국이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중국 20대가 더 강했다. ‘남성의 역할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성의 역할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중국 39%, 한국 16%였다. 반면 상하이는 19%로 점수가 낮아 한국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집안일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비중은 중국이 52%로 한국의 72%에 비해 낮았다. 가부장제에 대한 존중도 중국이 83%로 한국의 67%보다 높았다.

사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국 20대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중국 72%, 한국 50%) ‘타인을 신뢰한다’(중국 78%, 한국 38%), ‘이웃에 관심을 갖는다’(중국 88%, 한국 34%) 모두 중국이 높게 나타났다.

중국 20대는 한국 20대보다 ‘권위주의’(중국 65%, 한국 33%) ‘집단주의’(중국 68%, 한국 54%) ‘연고주의’(중국 53%, 한국 18%)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의외로 상하이가 베이징보다 세 요인의 점수가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중국과 한국 20대 모두 사회 양극화가 심각하고(중국, 한국 모두 92%),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중국 78%, 한국 79%)고 인식했다. 중국 20대는 사회 집단 갈등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적게 인식하고 있었다. ‘빈부 갈등’(중국 72%, 한국 86%), ‘노사 갈등’(중국 55%, 한국 95%) 모두 중국의 점수가 낮았다.

중국 20대는 자국의 이익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한 동시에 세계화에도 한국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반면 외국인에 대한 수용도는 낮았다. ‘동료로서 외국인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점수는 중국 51%, 한국 84%였다. 특히 상하이는 베이징보다 세계화에 덜 긍정적(상하이 71%, 베이징 95%)이다. 외국인 수용도도 상하이 30%, 베이징 60%로 의외의 결과를 보였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같은 유교 문화권에 속해 있어도 한국과 중국 20대의 가치관은 큰 차이를 보였다. 중국은 영토가 광대한 만큼 도시별 차이도 컸다.

한국 기업에서도 Y세대가 관심의 대상이었듯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중국인과 한국인의 차이를 넘어 중국 신세대의 특성에 대해서도 이해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