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자원개발 투자, 한국 -1 vs 중국 27

입력 2015-07-23 21:54
'사정 드라이브'에 올스톱
저유가·원고 기회 못살려


[ 김재후 기자 ] 국제 유가가 정점을 찍고 하락한 지난 3년간 중국은 세계 27개 자원회사와 유전의 지분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같은 시기 해외자원개발 공기업에 대한 ‘사정 드라이브’로 신규 투자를 중단한 채 오히려 갖고 있던 유전을 되판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석유공사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2년부터 올 2월까지 CNPC(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 CNOOC(중국해양석유) 등 국영기업을 통해 27개 외국 석유개발회사와 유전 지분을 매입했다. 여기에 투자한 돈만 597억달러(약 69조원)에 달한다.

한국은 이 기간 석유공사가 보유하고 있던 캐나다 정유공장인 노스아틀랜틱파이닝(NARL)을 매각했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유전 가격이 떨어진 상황에서 중국은 해외자원 투자에 꾸준히 나선 반면 한국은 투자 호기(好機)를 못 살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의 해외자원개발 투자가 중단된 것은 에너지·자원 공기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 때문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주장한다.

감사원은 2013년부터 해외자원개발을 주도한 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세 개 공기업을 대대적으로 감사하고 있다. 검찰도 해외자원개발에 나섰던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과 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을 배임 혐의로 수사 중이다. 정부가 공기업 부채 감축을 위해 자산 매각을 종용하는 것도 해외자원 투자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7/31] 中자오상증권초청, 2015 중국주식 투자전략 강연회 (무료)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