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4월 전국 주택거래량은 12만48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3%, 전월 대비 7.7%나 늘어났다. 주택거래량은 3월(11만1869건)에 이어 두 달 연속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격도 강세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4월 말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억9999만원이었다. 2013년 4월 4억8913만원을 기록하며 5억원 아래로 떨어졌던 것이 2년 만에 다시 5억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청약 열기 역시 후끈하게 달아 오르고 있다. 부동산 침체지역으로 불리던 인천 청라의 청약경쟁률이 2 대 1에 육박하는가 하면 동탄2신도시는 50~60 대 1에 달하기도 했다. 울산과 이천 일부 지역에서도 각각 50 대 1, 9 대 1 안팎까지 올라갔다. 부동산시장에 훈풍이 부는 것은 DTI와 LTV 완화, ‘주택 3법’ 시행 등 규제완화 영향이 크다. 매매가의 71%까지 치솟은 전셋값으로 인해 매매수요가 늘었고 여기에 사상 최저인 저금리 기조도 한몫했다.
문제는 이런 호황이 지속될 수 있느냐다. 주택거래량 급증이 반전을 앞둔 현상일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소위 ‘거래량 상투론’이다. 무엇보다 수급이 녹록지 않다. 올해 아파트 신규분양 물량은 34만7000여가구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일반 주택까지 합하면 50만가구를 넘어 정부 공급 목표량(38만가구)을 크게 넘어선다.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은 상황에서 쏟아지는 물량을 소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베이비 부머의 은퇴, 저출산 고령화로 주택 실수요는 구조적인 감소세다.
급증하는 주택담보대출도 심상치 않다. 올 1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11조6000억원으로 역시 사상 최대다. 아무리 안심전환대출 등으로 전환이 이뤄졌다고 해도 금리가 오르고 집값이 떨어지면 후폭풍이 심각할 수밖에 없다. 최근 주택구매 열풍이 또 다른 ‘하우스푸어’를 양산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정부도 수요자도 부동산경기 급변동 가능성을 염두에 둘 때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