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강관업체들에 "덤핑 무혐의" 판정

입력 2014-02-19 10:05
수정 2014-02-19 14:52
미국 상무부가 국내 유정용 강관(OCTG)업체들이 덤핑을 하지 않았다는 예비판정 결과를 발표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19일 새벽(한국시각 기준) 한국을 비롯한 9개국의 유정용 강관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벌인 결과 국내 수출물량에 대해서는 ‘무혐의’로 판정했다. 반면 다른 8개 국가에 대해서는 연 2~100% 수준의 관세 부과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연간 80만t 규모, 약 8억달러어치 유정용 강관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한국 휴스틸 넥스틸 세아제강 아주베스틸 현대하이스코 등 국내 강관업체들과 포스코·현대제철 등 소재공급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반사 이익을 볼 수 있게 됐다. 국내 강관업체들은 생산량의 70% 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아울러 유정용 강관 외 다른 유사제품들의 반덤핑 조사에서도 국내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 상무부는 작년 7월 미국 강관업체들의 제소에 따라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한국 인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태국 터키 우크라이나 베트남 9개국의 수입제품의 덤핑 때문에 미국 업체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다. 미국 제소업체들의 주장에 따르면 각국의 덤핑 마진율은 12.67~239.64%였다. 특히 한국은 66.19~158.53%로 인도에 이어 최고 수준이라고 미국 업체들은 주장했다.



하지만 미 상무부는 이같은 주장을 대부분 받아들이지 않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만약 10% 수준의 관세만 부과되더라도 가격 경쟁력이 상당부분 사라지고, 유사 제품에 대한 덤핑 판정 가능성이 높아져 국내 강관업체 등 철강업계 전체가 상당한 타격을 받을 처지였다”며 “이번 판정으로 국내 업체들은 유정용 강관을 비롯해 15억달러 규모의 미국 강관시장 전체에 대해 경쟁력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