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장기화 시 부산항 물류 차질 우려

입력 2013-12-09 09:17
9일 단행된 철도노조 파업으로 부산항 화물 운송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무궁화·새마을 위주 경전선과 동해남부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도 예상된다.

이날 코레일은 철도노조 파업으로 화물 열차의 운행 횟수를 절반으로 줄인다고 밝혔다.

평소 수출입 화물을 싣고 부산을 오가는 열차는 하루 72편이었지만 파업 여파로 36편만 운행한다.

화물 운송은 수출품과 긴급 물품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파업에 앞서 코레일은 이달 4일부터 평상시 물동량보다 15% 이상 늘려 운송을 했기 때문에 당장 화물 운송에 큰 차질을 빚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부산항 전체 물동량에서 철도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5%에 불과해 철도파업이 당장 부산항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항만 당국도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파업이 일주일을 넘기면 부산항 곳곳에서 물류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코레일과 항만 당국은 우려하고 있다.

철도 화물은 건설 자재와 중량화물이 주를 이룬다.

부산항만공사는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화물차를 대체 운송수단으로 편성하기로 했지만 화물연대가 대체운송을 거부하면 물류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편 부산을 기점으로 하는 여객 열차는 무궁화와 새마을호를 중심으로 대폭 줄여 운행된다.

코레일은 KTX는 평소와 같이 하루 142편의 출발·도착편을 운행하지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는 각각 32편과 2편 줄여 운행하기로 했다.

서울을 오가는 데는 당장 불편이 없겠지만 경남과 울산, 경북 지역을 왕래하는 경전선과 동해남부선 이용객의 불편이 예상된다.

한편 철도노조의 이번 파업은 2009년 11월 26∼12월 3일까지 8일간 진행된 파업에 이어 4년 만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 '미인주'만 골라 잡는 주식계의 카사노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