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장기 주택 R&D 계획…"공기질 오염·층간소음 해결"

입력 2013-11-29 21:14
수정 2013-11-30 09:34
[ 이현진 기자 ] 국토교통부가 주택 분야의 각종 시공기술을 장기적으로 연구개발(R&D)하기 위한 로드맵인 ‘장기주택종합 R&D 계획’을 곧 발표한다. 이번 계획에는 장수명주택(100년 주택) 건설, 한국형 온돌시스템 확대 등에 대한 연구 과제들이 포함될 예정으로, 정부가 주택 분야 R&D 계획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재정 국토부 주택정책관은 “정부는 주택 분야를 따로 떼어 세부적인 R&D 계획을 세울 것”이라며 “지금까지는 건설 전반의 포괄적인 R&D 계획만 있었지만 주택 시공의 중요성을 감안해 별도로 전문계획을 세우겠다”고 29일 설명했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시공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연구 용역을 맡길 계획이다. 용역의 정식 명칭은 ‘주택 R&D 기본계획 수립’이다.

중점 연구 과제는 ‘건강친화형 자재개발’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주택설계’ ‘거주형 그린리모델링 기술’ 등이다. 세부적으로는 △주택 실내 공기질 오염문제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절감 방안 △장수명주택 연구 △공업화(모듈러)주택(설비·배관 등 공정의 80%를 공장에서 끝내고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는 집) 시공 기술 등이다.

정부는 주택·건설업계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공청회도 열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R&D 계획이 주택 품질과 기술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내 재고주택 1400만가구를 기술적으로 어떻게 유지할지 대비책을 세우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신조 내외주건 사장은 “앞으로 리모델링법이 통과되면 ‘집을 더 오래 쓰는 문제’가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번 R&D 계획이 주택시장 발전에 기여할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