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의료산업'으로 가는 길

입력 2013-08-19 17:09
수정 2013-08-20 08:04
이준혁 중소기업부 기자 rainbow@hankyung.com


“보건복지부에서 외국인 환자가 몇 명이나 오는지, 그들이 머무를 수 있는 병상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 전수조사를 한다고 계속 전화가 옵니다.”(서울 A병원 국제진료팀장)

“청와대에서 지시가 왔습니다. 국내 병원에서 외국인 환자를 더 데려올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찾으라고요.”(정부 관계자)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16일부터 두 차례에 걸쳐 게재한 의료산업 기획시리즈 기사에 대한 정부와 의료계의 반응이 뜨겁다. 정부는 청와대 지시로 실태조사에 나서겠다고 했다. 외국인 환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병원들은 정부가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기보다는 병원들의 부족한 부분을 꼬집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하기도 했다.

의료관광객은 세계적으로 한 해에 4000만명을 넘고, 시장 규모가 1000억달러(약 111조원)에 이를 정도로 크게 늘고 있다. 의료도 일반 상품처럼 국가 간 교류로 유통되는 시대가 온 셈이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도 시장조사에 머물고 있는 수준이다. 관련 부처인 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의료관광’이라는 용어를 놓고 몇 년째 ‘사용 가능’과 ‘불가’ 논쟁을 벌이고 있다.

기사가 나간 뒤 각계 각층에서 의료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취지에 공감하고 격려를 보내왔다. 국내 제약사 B대표는 “정부가 이번 시리즈를 통해 의료를 산업으로 인식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했고, 홍보대행사 C대표는 “계속 두드려야 한다. 일단 시장을 열어 키우면 의료 사각지대 혜택도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기기업체 D대표는 “의료와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원격진료도 의료산업의 큰 축이다. 서둘러 정비해야 할 분야”라고 제언하기도 했다.

국내 의료 현실을 개탄하는 독자들도 적지 않았다. “머리가 좋다는 전국의 인재들을 의과대학에 다 모아놓고 정작 의사가 된 뒤에는 족쇄를 채우는 나라”라는 비판이 많았다. 병원 밖으로 한 발자국만 나가 진료를 하면 의료법 위반인 나라, 외국인 환자의 보호자는 묵을 곳이 없어 병원 주변 모텔을 전전하는 현실을 대부분 독자들이 개탄했다.

1960~70년대 우수한 인재들이 섬유공학·화학공학·기계공학 등에 몰려 한국의 제조업을 일으켰고 1980~90년대에는 전자공학·컴퓨터공학 수재들이 지금의 IT 산업을 번창시켰다. 의사들에게도 그런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

이준혁 중소기업부 기자 rainbow@hankyung.com


강용석, 이혼 소송 중인 '유부녀' 만나더니…

'윤후 아빠' 윤민수, 빚 때문에 월세방에서…

조향기, 남편과 자다가 '무방비' 상태로…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하리수, 중국 진출해 잘 나가다…'날벼락'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