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한국이 공격 당하면 자위대 파견할 수도"

입력 2013-02-28 17:04
수정 2013-03-01 03:22
집단자위권 범위에 포함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 범위를 확대할 조짐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과 호주를 상대로 한 공격에 대해서도 자국이 반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본 총리 직속 기구인 안보법제간담회의 야나이 순지 위원장은 28일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는 호주나 한국처럼 ‘관계가 매우 긴밀한 국가’와도 동맹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해상교통로 방위 문제에서 협력할 수 없었다”며 “하지만 집단적 자위권 행사라는 생각에서는 그런 것(호주·한국과의 해상교통로 방위 협력)은 당연한 얘기”라고 밝혔다.

집단적 자위권은 자국이 공격받지 않더라도 동맹국에 대한 공격에 반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그동안 집단적 자위권의 대상으로 미국만 언급돼왔다.

야나이 위원장은 이어 ‘자위대 함정이 공해상에서 미군 함정의 바로 옆에 있을 경우에만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실태를 고려하지 않은 공론”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수백㎞ 떨어져 있더라도 바다에선 가까운 거리”라며 “실제로 그렇게 할지는 정책적으로 판단할 문제지만 미국이 ‘적어도 괌 정도는 지켜달라’고 요청하면 그것도 (일본) 헌법상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