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살리는 상상력의 힘’...도시재생 스타트업이 뜬다

입력 2017-12-06 17:43
수정 2017-12-26 10:47



[캠퍼스 잡앤조이=이도희 기자] #지난 11월말,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세련된 디자인의 정미소가 들어섰다. 현대인의 ‘건강식’ 열풍에 맞춰 순수 토종이면서,기존에 보기 힘든 이색 쌀을 판매하는이른바‘쌀카페’다.도시재생 스타트업블랭크는 이 정미소의설계부터 브랜딩, 디자인까지 도맡았다. 블랭크는상도동에서4년째유휴공간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간 공유 사업을 벌이고 있다. 20~30대 청년들로 이뤄진 블랭크는 작은 철물점을리모델링한‘청춘플랫폼’을 시작으로 도시와 청년을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동대문 패션타운 인근의 디자인 작업공간‘창신 아지트’는 청년창업가 이상욱(32) 대표의 손으로 탄생했다. 이 대표가 설립한어반하이브리드는 창신동 내빈 상가를 작업공간으로 리모델링해 신진 디자이너에게 제공함으로써 디자이너에게는 창업 기회를, 이 일대의 봉제사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한다.이들의 최종 목표지는‘동대문 패션시장의 활성화’다.



도시재생 스타트업 블랭크가 리모델링한 서울 마포구 성산동의 동네 정미소. 사진= 블랭크 홈페이지

최근 진행되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청년 스타트업들이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도시재생’은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이다. 100대 국정과제 중 ‘도시경쟁력 강화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 뉴딜 추진’에 해당한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총 70곳의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선정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이번 도시재생 뉴딜에 투입하는 정부 예산은 매년 10조 원, 임기 내 50조 원에 달한다. 지난 정부에서 선정된 도시재생 사업지역 16곳에도 국비 9000억 원이 지원된다.



이같은 정부 방침에 특히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곳이스타트업이다. 국토연구원 산하 국책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도시재생 스타트업은 40여 곳에 이른다. 특히 이중에는 사회적기업이 많아 ‘지역주민과의 상생’이라는 정부 기조에도 잘 맞아떨어진다.

2013년 설립한 블랭크는 ‘청춘플랫폼’과 ‘청춘캠프’라는 공간 공유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청춘플랫폼은 서울 동작구 상도동의 지역 내 청년과 주민간 만남 공간으로, 부엌과 거실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공간이다. ‘청춘캠프’를 통해서는 작업실이나 사무실을 임대하기 어려운 청년에게 저렴한 가격의 일터를 제공한다.

로컬디자인무브먼트는 서울시 마포구, 도봉구 등 지역구를 포함해 서울혁신센터,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등 공공기관 사업의 컨설팅과 공간 조성을 맡아 왔다. 서교동의 코워킹, 코리빙 공간인 ‘로컬스티치’를 운영해스타트업, 예비 창업자, 프리랜서, 예술가 등 다양한 사람에게 공간을 저렴하게 소개하고 있다.

서울대 공정개발공유가치센터를 모태로 하는 사회적기업 어반하이브리드는 서울시, 관악구, 종로구와 더불어 여러 민간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공간기획과 지역자원 발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앤스페이스는 2013년 서울 성동구 왕십리에 자리한 것이 계기가 돼 지역구 도시재생에 힘을 쏟고 있다. 9명의 직원 중 6명이 20대고 나머지 2명도 모두 30대의 청년들로 이뤄져 있다.

이처럼 도시재생 사업에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작은 규모 덕이다. 조직문화가 수평적이고 의사결정 단위가 작기 때문에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는 데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스타트업이 도리어 작은 규모 때문에 곤란을 겪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주선 건축도시공간연구소부연구위원은 “도시재생사업에서 다양한 분야가 융합하는 일이 늘어나는데 스타트업은 신생·소규모·소자본 업체가 많아 행정 업무를 처리하기 어렵고 지역별 사정을 파악하기 힘들다”며 “온라인으로 도시재생 단위사업과 도시재생 실행 주체를 연결하고 평판시스템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재생 O2O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윤 부위원은 또 “도시재생 스타트업을 청년실업 증가를 막기 위한 일시적인 청년 복지나 청년의 재미있는 실험을 응원하는 이벤트적 접근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지역의 가치를 향상시켜 재정 건정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복지 재정을 마련하는 선순환 지역경제의 엔진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tuxi0123@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