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 역전 자체보단 실물경제 위기가 환율불안 촉발"

입력 2023-08-20 12:00
"한미 금리 역전 자체보단 실물경제 위기가 환율불안 촉발"

상의, 4차례 금리역전기 분석…"실물경제 위기로 전이될 때 환율불안"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은 금리 역전 현상 자체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발생하는 실물경제 충격이 환율 불안을 촉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0일 발표한 '한미 금리 역전기 환율 변동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제시하기 시작한 1999년 5월 이후 현재까지 총 4차례 한미 금리 역전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 금리가 오르면 원화 가치가 하락하고(원/달러 환율 상승)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에 대한 압박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제1차 금리 역전기(1999년 6월∼2001년 3월), 2차 금리 역전기(2005년 8월∼2007년 9월)에는 금리 역전 격차가 벌어질수록 원/달러 환율이 오히려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3차 금리 역전기(2018년 3월∼2020년 2월)와 최근의 4차 금리 역전기(2022년 9월∼)에는 환율이 소폭 상승하며 불안한 흐름을 보였으나, 큰 폭의 환율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오히려 금리 역전 그 자체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미국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실물경제 위기로 전이될 때 환율 불안이 커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1차 역전기 후반부에 '닷컴버블 붕괴'가, 2차 역전기 종료 후에는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터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단기간 급등했다.

1차 역전기의 경우 닷컴버블 붕괴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환율은 하락 추세였다고 대한상의는 덧붙였다.

3차·4차 역전기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여파로 주가 급락,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금융 불안 등이 발생했으나 더 심각한 위기로 확산하지는 않았고, 비교적 환율 불안도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한미 간 금리 격차 그 자체보다는 미국 실물경제 충격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환율 불안의 불쏘시개가 된 만큼 외풍을 견딜 펀더멘털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