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주검 돼서야 고향땅으로…기구한 시리아 난민들

입력 2023-02-09 10:01
수정 2023-02-09 18:12
[튀르키예 강진] 주검 돼서야 고향땅으로…기구한 시리아 난민들

내전 피해 간 튀르키예서 지진 만나

원조 대신 시신 가방만 국경검문소 통과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내전의 공습을 피해 튀르키예로 건너간 시리아 난민들이 지진으로 싸늘한 주검이 된 채 고향 땅으로 돌아가고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일 튀르키예와 시리아 국경통제소 바브 알하와를 통과한 시리아인 시신은 85구에 달했다.

8일에도 수십 구의 시리아 난민 시신이 더 넘어왔다. 시신은 검은색 시신 가방이나 푸른색 방수포, 화려한 색의 담요 등으로 싸인 채 승합차 뒤에 실려 왔다.

이 가운데는 13세 소녀 야라 이브나야트도 있다.

야라의 시신은 튀르키예에 있는 집 잔해에서 지난 7일 수습됐다. 그의 부모와 남자 형제는 아직도 잔햇더미 속에 있다.

사촌의 딸인 야라의 시신을 인수하기 위해 시리아 쪽에서 온 아흐마드 알유수프(37)는 "시리아에서 죽지 않은 사람은 튀르키예에서 죽었다"고 말했다.

사르마다 인근에서 천막생활을 한다는 그는 "우리는 망자들이 고향으로 돌아와 가족들 사이에 묻히길 원한다"고 말했다.

내전이 이어진 지난 12년 동안 더 안전한 곳에 정착하기 위해 튀르키예로 피난을 간 시리안 난민은 약 400만 명에 달한다. 다른 수백만 명은 요르단, 레바논, 유럽 등으로 흩어졌다.

야라의 가족도 2013년 시리아 하마 주에서 포격과 공습을 피해 튀르키예 접경지까지 왔다. 야라의 아버지가 시리아 내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없어 가족들은 결국 국경 너머 튀르키예로 건너갔다.

시리아에 남아 있는 일가는 시신 가방에 담겨 돌아오는 난민들을 맞이하기 위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트럭을 몰고 와 밤 추위 속에서도 기다렸다.

죽은 가족과 친척의 마지막 가는 길을 예우하고 마지막 안식처를 주기 위해서다.

야라는 할머니가 사는 마을 공동묘지에 묻힐 예정이다.

이곳에는 시리아 북부의 거의 모든 공동묘지처럼 몇 개의 묘터가 늘 파져서 다음 사자를 맞이할 준비가 돼 있다.

내전이 벌어지는 시리아에서 죽음은 지진과 같은 땅 밑에서가 아니라 공습 등으로 인해 하늘로부터 오는 경우가 많다.

이런 가운데 시리아로 들어가는 유일한 국제사회 원조 통로인 바브 알하와에서는 지난 6일 지진 발생 후 사흘째가 되도록 국제원조 대신 시신 가방만 통과하고 있다.

이는 지진으로 바브 알하와 주변 도로도 차단되고 튀르키예 내에 있던 구호단체들도 지진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NYT는 덧붙였다.

sungj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