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업 종사자, 코로나 거치며 2배로 증가…평균 순소득 286만원
2019년 11만9천명→올 상반기 23만7천명…3년 새 101% 늘어
"주 5일 없다" 월평균 25.3일 근무…10명 중 4.3명 "최근 6개월새 사고 경험"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배달업 종사자가 3년 새 2배로 증가해 11만명대에서 23만명대가 됐다.
이들의 월평균 순소득은 286만원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사업(배달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정 이후 음식 배달 종사자, 지역 배달대행업체, 배달 플랫폼업체 등을 대상으로 정부가 처음 진행한 실태 조사다.
배달업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는 2019년 상반기 11만9천626명에서 올해 상반기 23만7천188명으로 3년 사이 11만7천562명(101%) 늘었다.
배달업체로는 소비자와 음식점 간 음식 주문을 중개하는 주문중개 플랫폼이 37개,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 간 배달주문을 중개하는 배달대행 플랫폼이 51개 운영되고 있다.
각 지역 배달대행업체는 7천794곳이다.
주요 6개 도시 배달 종사자 1천2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배달업 종사자는 월평균 25.3일 일하며 평균 381만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95만원은 보험료·렌탈료 등으로 지출해 순소득은 286만원이었다.
서울 배달 종사자의 순소득이 31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306만원), 광주(274만원), 대전(267만원), 부산(227만원), 대구(220만원) 순이었다.
하루 평균 배달 건수는 주중 37.4건, 주말 42.3건, 평균 운행 거리는 주중 103km, 주말 117km였다.
배달 종사자 10명 중 4.3명은 최근 6개월간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사고 원인은 '촉박한 배달 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 때문이라는 응답이 42.8%를 차지했다. '상대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중복응답 가능)도 주요 사고 원인으로 꼽혔다.
배달업 종사자들의 최초 업무 시작 시 안전보건교육 이수율은 79%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72.2%가 온라인교육으로 이수하고 있었다.
이들은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해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이 뒤를 이었다.
음식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소비자가 지불하는 배달료는 평균 2천원대가 57%로 가장 많았다. 3천원대가 31%였으며, 소비자는 음식값의 약 10%를 적정 배달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소비자의 66%는 단건 배송을 선호했으며, 주문 20∼30분 내 음식이 도착하는 것을 가장 선호(50%)했다.
배달의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 등은 대체로 만족(54%)하고 있었으나, 높은 배달료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