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 8.4%↑, 13년여만에 최고…서민 부담 커진다

입력 2022-09-05 05:30
수정 2022-09-05 06:42
먹거리 물가 8.4%↑, 13년여만에 최고…서민 부담 커진다

식료품·비주류음료 8.0%↑…외식 등 음식서비스는 30년만에 최고

소득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 커…1분위 41.7%·5분위 14.0%

라면값·전기 요금 등 줄줄이 인상 예고…물가 상당 기간 높은 수준 유지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 비중이 큰 먹거리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과 함께 택시 요금, 전기·가스 요금의 인상도 예고돼 서민의 물가 부담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먹거리 물가 8.4%↑·호박 83%↑·갈비탕 13%↑…음식서비스는 30년만에 최고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올라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음식서비스 부문을 각 지수와 가중치를 고려해 계산한 값이다.

2020년 가중치를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지난달 먹거리 물가 지수는 113.57, 지난해 8월은 104.80이었다.

통계청은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파악한 가구의 소비지출구조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마다 물가 가중치를 조정한다.

부문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8.0%로 지난해 2월(9.3%) 이후 최고치를 유지 중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에는 빵 및 곡물, 육류, 수산물, 과일, 채소, 과자, 냉동식품 등이 포함돼 있다.

자장면·설렁탕 등 주로 외식 품목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의 경우 1년 전보다 8.8% 올라 1992년 10월(8.9%)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에서는 호박(83.2%), 배추(78.0%), 오이(69.2%), 무(56.1%) 등 채소류가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음식서비스에서는 갈비탕(13.0%), 자장면(12.3%), 김밥(12.2%), 해장국(12.1%), 햄버거(11.6%) 등이 많이 올랐다.

[표] 먹거리 물가 추이

┌────┬─────────┬────────┬──────┬──────┐

│ 시점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서비스 │먹거리 물가*│전년 동월 대│

│├─────────┼────────┼──────┤ 비 증감률 │

││ 원데이터 │원데이터│지수││

├────┼─────────┼────────┼──────┼──────┤

│2022.08 │114.69│ 112.20│ 113.57│8.4%│

├────┼─────────┼────────┼──────┼──────┤

│2022.07 │113.12│ 111.39│ 112.34│8.2%│

├────┼─────────┼────────┼──────┼──────┤

│2022.06 │111.40│ 110.67│ 111.07│7.2%│

├────┼─────────┼────────┼──────┼──────┤

│2022.05 │111.49│ 109.81│ 110.73│6.6%│

├────┼─────────┼────────┼──────┼──────┤

│2022.04 │110.16│ 108.85│ 109.57│5.5%│

├────┼─────────┼────────┼──────┼──────┤

│2022.03 │109.38│ 108.34│ 108.91│4.8%│

├────┼─────────┼────────┼──────┼──────┤

│2022.02 │109.49│ 107.39│ 108.54│4.7%│

├────┼─────────┼────────┼──────┼──────┤

│2022.01 │109.10│ 106.40│ 107.88│5.5%│

├────┼─────────┼────────┼──────┼──────┤

│2021.12 │107.85│ 105.38│ 106.74│5.6%│

├────┼─────────┼────────┼──────┼──────┤

│2021.11 │107.25│ 104.48│ 106.00│5.1%│

├────┼─────────┼────────┼──────┼──────┤

│2021.10 │106.72│ 103.91│ 105.45│2.5%│

├────┼─────────┼────────┼──────┼──────┤

│2021.09 │107.87│ 103.51│ 105.91│3.1%│

├────┼─────────┼────────┼──────┼──────┤

│2021.08 │106.20│ 103.09│ 104.80│3.8%│

└────┴─────────┴────────┴──────┴──────┘

*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음식서비스 원데이터를 2020년 가중치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 재가공



◇ 1분위 먹거리 지출 비중 41.7%…소득 낮을수록 부담 커져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서민의 시름을 깊게 하는 요인이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4만7천960원, 외식 등 식사비에 지출한 금액은 14만4천442원이었다.

월평균 가처분소득(93만9천968원) 대비로 보면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6.4%, 식사비가 15.4%다.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만 41.7%에 달해 전체 가구의 먹거리 지출 비중(19.0%)과 큰 차이가 난다.

소득별로 보면 2분위 가구가 24.6%, 3분위가 21.7%, 4분위가 18.9%, 5분위가 14.0%로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컸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 라면값·택시 요금·전기 요금 인상 줄줄이 예고…고물가 지속 우려도

가공식품과 함께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고돼 있어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심은 오는 15일부터 서민의 대표적 먹거리인 라면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인상한다. 스낵 주요 제품의 가격도 5.7% 올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현재 3천800원에서 내년에 4천800원으로 1천원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거리요금과 시간요금 기준도 올린다.

오는 10월 전기요금 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또한 서민의 물가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이다.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주거·수도·광열에 지출한 금액은 22만2천295원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23.6%의 비중을 차지했다.

2분위는 12.4%, 3분위는 8.0%, 4분위는 7.0%, 5분위는 4.4%로 소득이 낮을수록 관련 지출 비중이 컸다.

교통도 1분위(10.5%), 2분위(7.7%), 3분위(9.5%), 4분위(9.2%), 5분위(7.4%)로 대체로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 비중이 컸다.

[표] 2022년 2분기 소득 분위별 월평균 지출 및 소득

┌─────────┬─────────┬──────┬──────────┐

│ 분위별 │ 가계수지항목별 │ 금액(원) │가처분소득 대비 비중│

├─────────┼─────────┼──────┼──────────┤

│전체 평균 │식료품·비주류음료│ 364,574│9.2%│

│ ├─────────┼──────┼──────────┤

│ │ 주거·수도·광열 │ 295,947│7.5%│

│ ├─────────┼──────┼──────────┤

│ │ 교통 │ 330,965│8.4%│

│ ├─────────┼──────┼──────────┤

│ │ 식사비 │ 386,150│9.8%│

│ ├─────────┼──────┼──────────┤

│ │ 처분가능소득 │ 3,942,833││

├─────────┼─────────┼──────┼──────────┤

│ 1분위 │식료품·비주류음료│ 247,960│ 26.4%│

│ ├─────────┼──────┼──────────┤

│ │ 주거·수도·광열 │ 222,295│ 23.6%│

│ ├─────────┼──────┼──────────┤

│ │ 교통 │ 99,052│ 10.5%│

│ ├─────────┼──────┼──────────┤

│ │ 식사비 │ 144,442│ 15.4%│

│ ├─────────┼──────┼──────────┤

│ │ 처분가능소득 │ 939,968││

├─────────┼─────────┼──────┼──────────┤

│ 2분위 │식료품·비주류음료│ 281,719│ 12.5%│

│ ├─────────┼──────┼──────────┤

│ │ 주거·수도·광열 │ 279,348│ 12.4%│

│ ├─────────┼──────┼──────────┤

│ │ 교통 │ 172,829│7.7%│

│ ├─────────┼──────┼──────────┤

│ │ 식사비 │ 271,373│ 12.1%│

│ ├─────────┼──────┼──────────┤

│ │ 처분가능소득 │ 2,250,922││

├─────────┼─────────┼──────┼──────────┤

│ 3분위 │식료품·비주류음료│ 349,045│ 10.4%│

│ ├─────────┼──────┼──────────┤

│ │ 주거·수도·광열 │ 268,654│8.0%│

│ ├─────────┼──────┼──────────┤

│ │ 교통 │ 320,082│9.5%│

│ ├─────────┼──────┼──────────┤

│ │ 식사비 │ 378,765│ 11.3%│

│ ├─────────┼──────┼──────────┤

│ │ 처분가능소득 │ 3,361,351││

├─────────┼─────────┼──────┼──────────┤

│ 4분위 │식료품·비주류음료│ 428,154│8.9%│

│ ├─────────┼──────┼──────────┤

│ │ 주거·수도·광열 │ 338,995│7.0%│

│ ├─────────┼──────┼──────────┤

│ │ 교통 │ 442,146│9.2%│

│ ├─────────┼──────┼──────────┤

│ │ 식사비 │ 484,313│ 10.0%│

│ ├─────────┼──────┼──────────┤

│ │ 처분가능소득 │ 4,828,978││

├─────────┼─────────┼──────┼──────────┤

│ 5분위 │식료품·비주류음료│ 515,860│6.2%│

│ ├─────────┼──────┼──────────┤

│ │ 주거·수도·광열 │ 370,395│4.4%│

│ ├─────────┼──────┼──────────┤

│ │ 교통 │ 620,462│7.4%│

│ ├─────────┼──────┼──────────┤

│ │ 식사비 │ 651,636│7.8%│

│ ├─────────┼──────┼──────────┤

│ │ 처분가능소득 │ 8,329,979││

└─────────┴─────────┴──────┴──────────┘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물가가 정점을 지나더라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낮춰 살림살이를 더 팍팍하게 한다.

한국은행은 지난 2일 소비자물가가 발표된 뒤 가진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7월 3.9%→8월 4.0%)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이어지면서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