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국방, 대만문제 놓고 격론…美 "北의 안보위협도 논의"(종합3보)
싱가포르서 1시간 회담…"불안정행위 말라"·"독립시도 분쇄"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첫 대면회담…우크라전쟁 놓고도 팽팽
(베이징 워싱턴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김경희 특파원 황철환 기자 =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처음 만난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이 양국 관계의 최대 갈등 현안인 대만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로이터, AFP통신과 중국 관영 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싱가포르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중인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웨이펑허 중국 국방부장은 10일 오후(현지시간) 현지에서 약 1시간 동안 양자 회담을 했다.
작년 1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양국 국방장관 간의 첫 대면 회담이었다.
미 국방부는 자료를 통해 이번 회담에서 "오스틴 장관은 미국이 대만관계법에 따른 '하나의 중국' 정책에 변함이 없음을 재확인했다"며 "대만 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일방적인 현 상태 변화에 반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오스틴 장관은 중국 정부에 대만에 대한 추가적인 안보 불안정 행위를 삼갈 것을 촉구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미국은 1979년 제정된 대만관계법에 따라 대만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할 근거를 두면서도 전략적 모호성에 기반한 접근으로 중국의 군사행동을 억지해왔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이 같은 정책에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하면서도, 바이든 대통령 본인이 중국의 무력 행동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며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여러 차례 내비쳐 강경 노선을 시사하는 상황이다.
반면 외신 보도에 따르면 웨이 부장은 "대만은 중국의 일부이며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미 관계의 정치적 기초"라며 "대만으로 중국을 제압하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없다"고 맞받았다.
이어 웨이 부장은 "미국이 최근 재차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발표했는데 이는 중국의 주권과 안보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하는 것으로 중국은 결연히 반대하고 강렬하게 규탄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 정부와 군은 어떠한 대만 독립 도모도 단호히 분쇄하고 조국 통일을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미국은 대만에 해군 함정 부품과 관련 기술 등 1억2천만 달러(약 1천500억 원) 상당의 무기 수출을 승인한 사실이 지난 9일 확인된 바 있다.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 승인 건으로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4번째였다.
이날 회담에서는 핵실험이 임박한 것으로 예측되는 북한의 안보 위협 문제도 논의됐다.
오스틴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 문제를 포함해 역내 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미 국방부는 전했다.
미국과 한국 정부는 북한의 제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우려를 여러 차례 제기하며 북한에 추가적인 도발 행위 중단과 외교에의 관여를 촉구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2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과 관련, 러시아와 함께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오스틴 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러시아에 물질적 지원을 하지 말 것을 중국 측에 요구했다고 미국 고위 당국자가 전했다.
이에 대해 웨이 부장은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군사 원조를 부인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대만 근해와 남중국해 등에서 미중간의 갈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열린 이날 회담에서 두 장관은 충돌 방지를 위한 '가드레일'(안전장치)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 장관과 웨이 부장은 양국 군이 고위급의 전략적 소통을 유지하고, 전략적 상호 신뢰를 증진하며, 갈등과 이견을 잘 관리하고, 갈등과 이견이 충돌과 대항으로 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했다고 CCTV는 전했다.
앞서 오스틴 장관과 웨이 부장은 지난 4월 첫 전화 통화를 했는데, 당시에도 대만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현안을 놓고 첨예한 이견을 드러냈다.
오스틴 장관과 웨이 부장은 샹그릴라 대화 본회의에서 11일과 12일 각각 '미국 인도·태평양(인·태) 전략의 다음 단계'와 '역내 질서를 위한 중국의 비전'을 주제로 연설한다.
이 연설을 통해 두 장관은 미중 갈등 심화에 대한 자국 입장 등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