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 전망…14년만에 최고(종합3보)
우크라이나사태·공급망 차질·보복소비·추경 등 고려
성장률 전망은 3.0→2.7% 낮춰…내년 물가 2.9%·성장률 2.4%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김유아 오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원자재 가격 강세, 소비 회복,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을 고려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5%까지 크게 올려 잡았다. 이는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올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한 한은의 눈높이는 3% 아래로 낮아졌다.
◇ 물가상승률 3.1→4.5%…이창용 "5월 물가 5% 넘을듯…통화정책 수개월간 물가에 중점"
한은은 26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4.5%로 제시했다. 지난 2월 발표한 기존 전망치(3.1%)보다 1.4%포인트(p)나 높아졌다.
한은이 당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4%대를 내놓은 것은 2011년 7월(연 4.0% 전망) 이후 10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더구나 4.5%는 2008년 7월(해당 연도 상승률 4.8% 전망)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전망치고, 만약 예상이 실현될 경우 2008년(4.7%)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연간 물가 상승률로 기록된다.
한은이 이처럼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올린 것은 이미 5%에 근접한 소비자물가 상승률(4월 전년동월비 4.8%)과 우크라이나 사태·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원자재·곡물 가격 강세 등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3월 이후 코로나19 관련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보복소비(지연소비) 수요 증가, 추경 집행 효과 등도 고려된 것으로 해석된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물가와 관련해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올해 상승률도 2월 전망치(3.1%)를 크게 상회하는 4%대 중반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네 가지 물가 상방 압력 요인은 에너지 가격, 식료품 가격, 물가의 광범위한 확산,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 증가"라며 "5∼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올해 평균 원유 가격 추정치가 2월 전망 당시 80달러 중반에서 102달러로 높아졌고, 유엔(UN) 통계상 국제 식량 가격이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평균 60%나 올랐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높일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김 국장은 "식료품 가격 상승은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준다"며 "더구나 한해 농사를 망치면 적어도 1년, 2년간 영향을 미쳐 장기화한다는 점도 전망에 반영했다"고 덧붙였다.
59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추경의 효과도 이번 전망에 반영됐다.
김 국장은 "추경이 성장률을 0.2∼0.3%포인트 높이고, 물가 상승률도 0.1%포인트 정도 올리는 것으로 보고 전망치를 산출했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금통위 직후 기자 간담회에서 "6월 초 통계청이 5월 물가상승률을 발표하는데, 우리(한은) 예상으로는 5%를 넘을 것 같다"며 "앞으로 수개월 동안 물가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물가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이 총재는 "유가 등이 내려간다 해도 국제 곡물 가격은 한번 올라가면 상당한 기간 지속되는 만큼, 내년 초까지도 3∼4%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유지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민간소비 전망치 높이고 설비·건설투자 역성장 예상…경상수지 흑자 전망치 29%↓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경우 3.0%에서 2.7%로 하향 조정됐다.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코로나19 봉쇄 등에 따른 중국 경기 둔화,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타격 가능성 등이 전망 수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문별로 보면, 우선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3.5%에서 3.7%로 높아졌다. 거리두기 해제 등에 따른 수요 회복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성장률은 기존 각 2.2%, 2.4%에서 -1.5%, -0.5%까지 떨어졌다.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등의 여파로 오히려 주요 투자가 올해 뒷걸음칠 것으로 예상된다는 뜻이다.
상품 수출과 수입 증가율도 3.3%, 3.4%로 기존 3.4%, 3.8%에서 0.1%포인트, 0.4%포인트씩 하향 조정됐다.
경상수지 흑자 전망치는 700억달러에서 500억달러로 29%나 감소했다.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28만명에서 58만명으로 크게 늘었고, 실업률도 3.6%에서 3.1%로 떨어졌다. 한은이 방역 조치 완화로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더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기 때문이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성장률은 각 2.9%, 2.4%로 예상됐다.
이번 전망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경우 올해 하반기까지 군사적 긴장과 제재가 이어지다가 연말 이후 점차 완화되는 시나리오를, 중국 방역 정책의 경우 '제로 코로나' 기조가 하반기까지 이어지며 간헐적으로 봉쇄 조치가 시행되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이뤄졌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