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5천168달러, 10.3%↑…3년만에 반등(종합)

입력 2022-03-03 10:44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5천168달러, 10.3%↑…3년만에 반등(종합)

한은 "경기회복·원화절상·물가 등 영향"

홍남기 부총리 "3만5천달러, 괄목할 성과…10위 경제 강국 안착"

4분기 성장률 1.2%, 속보치보다 0.1%p↑…연간 4.0%는 그대로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용주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경기 회복과 원화 가치 상승(원/달러 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사상 처음 3만5천달러를 넘어섰다.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보다 0.1%포인트(p) 높아졌지만, 연간 성장률(4.0%)에는 변화가 없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5천168달러로 2020년(3만1천881달러)보다 10.3%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4천24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7.0% 늘어났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2017년(3만1천734달러) 처음 3만달러대에 들어선 뒤 2018년 3만3천564달러까지 늘었다가 2019년(3만2천204달러)과 2020년(3만1천881달러) 2년 연속 뒷걸음쳤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경기가 회복하고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3% 떨어지면서 3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작년 1인당 GNI 급증에 대해 "실질 GDP 4.0% 증가, 원/달러 환율 3.0% 하락, GDP디플레이터 2.3% 상승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작년 1인당 GNI 증가폭(3천287달러)을 요소별로 나눠보면, 경제 성장(실질GDP)이 1천272원, 환율 하락이 1천61달러, 물가(GDP디플레이터)가 762원 정도 기여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2020년에 이어 지난해 1인당 GNI가 이탈리아를 앞지를 가능성에 대해서는 "4일 이탈리아의 지난해 1인당 GNI가 유로화 기준으로 발표되는데, 달러 환산 이탈리아 GNI는 5월이나 6월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의 발표를 확인해봐야 한다"고 답했다.

2020년 우리나라 1인당 GNI는 3만1천881달러로, 세계 36위를 기록했고 인구 5천만명이상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를 앞질러 6위에 올랐다.

아울러 최 부장은 1인당 GDP가 4만달러를 넘는 시점과 관련해 "환율 등 변동성이 큰 요인들이 있지만, 코로나를 잘 극복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수 년 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돌파한지 4년 만에 3만5천달러를 뛰어넘은 점이 가장 눈에 띈다"며 "특히 해당 4년 중 2년이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위기였던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통화기금(IMF)이 2023년까지도 우리 경제가 상위 10위(Top 10) 지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위기를 기회 삼아 세계 10위 경제 강국에 안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4.0%로 집계됐다.

하지만 4분기 성장률(전분기대비)은 1.1%에서 1.2%로 높아졌다.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이 반도체·석탄·석유 제품 중심으로 5.0%, 수입은 원유·화학제품 등 위주로 4.8%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1.6% 늘었다. 승용차 등 내구재가 줄었지만, 숙박음식·오락문화 등 서비스와 의류 등 준내구재가 성장을 이끌었다.

정부소비도 물건비·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1.3% 확대됐고, 건설투자도 2.9% 증가했지만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0.7% 감소했다.

업종별 성장률은 ▲ 제조업 1.1% ▲ 건설업 2.4% ▲ 서비스업 1.4% ▲ 농림어업 1.5% 등으로 집계됐다.

속보치와 비교해 서비스업(+0.1%포인트)과 재화수출(+0.4%포인트)이 상향조정된 반면 설비투자(-0.1%포인트)는 낮아졌다.

물가 변동이 반영된 명목 GDP의 경우 지난해 2천57조4천억원으로 전년보다 6.4% 불었다.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미국 달러화 기준(1조7천978억달러) 증가율은 9.7%로 더 높았다.

GDP디플레이터는 2020년보다 2.3% 상승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전반적 물가 수준이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6.1%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최종소비지출 증가율(6.5%)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6.8%)을 밑돌았기 때문이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