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 규제 2년만에 '소부장' 핵심품목 대일 의존도 급감

입력 2022-02-28 10:00
일본 수출 규제 2년만에 '소부장' 핵심품목 대일 의존도 급감

불화수소 수입액 2019년 3천630만달러→작년 1천250만달러 66% ↓

EUV레지스트 대일 의존도 50% 아래로…100대 품목 30.9%→24.9%로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핵심 품목의 일본 의존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00대 핵심 품목의 대일 의존도는 2019년 30.9%에서 2021년 24.9%로 약 6%포인트(p) 낮아졌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 EUV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의존도가 급감했다.

불화수소 수입액은 2019년 3천630만달러에서 지난해 1천250만달러로 66% 감소했고, EUV(극자외선) 레지스트는 수입 다변화로 대일 의존도가 50% 아래로 떨어졌다.

불화폴리이미드 역시 대체소재 채택으로 대일 수입 수요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이에 소부장 전체 일본 의존도는 2019년 17.1%에서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인 15.9%로 낮아졌다.

이는 정부 주도의 소부장 지원 강화 정책의 영향이라는 게 업계 안팎의 평가다.

정부는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 규제 정책을 시행한 직후인 2019년 11월 '소부장 협력모델'을 도입하고 총 45개의 협력모델을 발굴, 2025년까지 약 3천8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환경·노동 등 규제 특례, 세액 감면 등 세제·정책금융 등도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다.

율촌화학[008730]은 이 같은 소부장 협력모델의 성과 사례로 꼽힌다.

율촌화학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국내 이차전지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현재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는 이차전지를 보호하는 최종 외장재로, 알루미늄 필름에 표면처리와 합지,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율촌화학은 전기차용 이차전지 파우치 소재 국산화와 함께 파우치 생산장비도 국산화하면서 연간 최대 1억㎡의 파우치 생산이 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배터리 완제품 제조 경쟁력에 비해 떨어진다고 평가받던 이차전지 관련 소부장 분야의 경쟁력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정부는 이 과제에 국비 73억원을 지원했으며 기술개발 정부출연, 정책금융지원, 세제 지원, 인력지원, 행정절차 신속 처리 등으로 연구를 뒷받침했다.

또 국내 부품기업과 장비기업이 생산장비 개발에 참여하고, 기계연구원과 이차전지사가 부품·장비 평가에 힘을 보태는 등 공급망 전반에 걸쳐 협력이 이뤄진 모범 사례라고 산업부는 전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이날 율촌화학 안산공장을 방문해 생산시설을 시찰하고, 관련 기업들과 성과를 점검했다.

문 장관은 간담회에서 소부장 기업의 가시적인 성장이 확인되고 있다며 협력 모델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