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 "수수료 재인하로 수익 악화…재산정 제도 개선 촉구"

입력 2021-12-23 11:54
수정 2021-12-23 14:23
카드업계 "수수료 재인하로 수익 악화…재산정 제도 개선 촉구"

"카드론 규제·조달금리 상승·빅테크와 경쟁 등 악재로 위기 고조"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당정이 23일 카드 가맹점 수수료를 추가로 4천700억원 삭감하는 방안을 발표하자 카드업계는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며 위기감을 토로하면서 3년 주기 수수료 재산정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카드 수수료 개편방안을 협의하고, 연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에 대해 신용카드 수수료를 기존 0.8%에서 0.5%로 낮추기로 했다. 또 매출액 구간에 따라 ▲ 3억∼5억원은 1.3%에서 1.1%로 ▲ 5억∼10억원은 1.4%에서 1.25%로 ▲ 10억∼30억원은 1.6%에서 1.5%로 각각 하향 조정된다.

전체적인 수수료 경감액은 연간 4천700억원 규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소상공인을 지원해야 하는 필요성에는 공감하나 이미 신용판매 부문이 적자인 상태에서 카드수수료가 추가 인하된 것은 매우 아쉽다"며 "카드수수료 추가 인하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빅테크와 핀테크의 결제 시장 진출로 향후 이들과 치열한 경쟁이 전개될 상황에서 조달금리 상승과 카드론 규제에 수수료 인하까지 4대 악재에 둘러싸인 형국"이라며 "내년에 닥칠 위기를 가늠하기 힘들다"고 우려했다.



정종우 카드사노조협의회 의장은 "이번 수수료 개편방안에 따라 카드업계는 당장 영업이익 4천700억원이 사라지게 됐다"며 "카드사가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비용 절감에 나설 것이므로 연회비 상승 등 소비자 혜택 축소, 카드 근로자 고용 안정 약화 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총파업을 결의한 7개 카드사 노조는 이날 오후 대응 방향을 확정할 예정이다.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업계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면 겸영·부수 업무 확대 등 제도 개선과 디지털 혁신에 대한 전폭적이고 즉각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