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하면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위험 3.5배

입력 2021-07-16 10:28
흡연하면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위험 3.5배

연세암병원, 표적치료 실패 환자 특징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폐암 표적치료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들은 상당 기간 흡연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흡연할 경우 폐암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길 위험이 3.5배 컸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안병철·이지현·홍민희 교수 연구팀은 흡연 기간이 길고 뇌 전이가 적을수록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길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80∼85%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폐암을 일컫는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30∼40%는 EGFR 돌연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EGFR 돌연변이를 정밀 타격하는 표적치료제(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TKI)는 1세대 '이레사와 '타쎄바', 2세대 '지오트립'과 '비짐프로' 등이 있다. 하지만 폐암 환자에게 10~12개월 정도 처방하면 내성이 생겨 약물이 듣지 않는다. 내성이 발생할 경우에는 3세대 치료제인 '타그리소'를 써야 한다.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환자의 5∼22%는 중간엽상피전이인자(MET) 변이로 발생한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연세암병원에서 1∼3세대 EGFR 표적치료에 실패한 후 MET 증폭 검사를 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 186명을 분석했다. 186명의 환자 중에서 MET 변이가 발생한 환자는 30명으로 16.1%를 차지했다.

MET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흡연력이 지목됐다.

흡연 환자는 MET 변이가 나타날 확률이 3.5배 높았다. MET 변이가 나타난다는 건 표적치료제에도 내성을 보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교수는 "흡연이 MET 변이가 발생할 확률을 높여 EGFR 돌연변이 표적항암제 내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MET 변이에 대한 표적치료제 개발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암'(Canc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