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작은집 한채 사기도 벅차…소형아파트값 평균 7억7천만원
KB 부동산 통계…60㎡ 이하 아파트 평균가격 1년새 1억4천만원 뛰어
노도강·금관구 등 외곽도 '급등'…강남권 소형은 15억원 넘는 곳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최근 1년 사이 집값이 크게 뛰면서 서민들이 서울에서 소형 아파트 한 채 마련하기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과 도심은 물론 외곽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값까지 급등하면서 고소득 맞벌이 부부도 집값 오르는 속도를 따라가기 버거운 수준이 됐다.
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7억6천789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억4천193만원 올랐다. 상승률로 보면 22.7% 올랐다.
이는 직전 1년 동안(2019년 3월∼2020년 3월) 소형 아파트값이 7천246만원(13.1%) 상승했던 것과 비교해 2배 가깝게 빠른 속도다. 최근 1년간 집값 상승이 얼마나 가팔랐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1년 전 집을 사려다가 미뤘던 가족이 지금 같은 집을 사려 한다면 1억4천만원 넘는 돈이 더 필요한 셈이다.
이 조사에서 소형 아파트는 '전용면적 60㎡' 이하를 기준으로 삼았다. 시장에서는 '25평형'(공급면적 기준)으로 불리며 신혼부부 등이 많이 거주한다.
소형 아파트가 비교적 많이 몰려 있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지역에서도 지은 지 30년이 넘어 낡고 비좁은 아파트 가격이 1년 새 크게 오른 것이 확인된다.
준공 35년 된 노원구 월계동 미성아파트 전용면적 50.14㎡는 지난달 17일 7억9천500만원(2층)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이 아파트는 작년 상반기까지 6억원이 넘지 않았는데, 1년 사이 1억5천만∼2억원 수준으로 오르면서 8억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1997년 준공한 도봉구 창동 쌍용아파트 전용 59.88㎡도 지난달 8일 7억9천만원(16층)에 신고가로 거래되면서 1년 전 6억1천만원(9층)에 매매됐던 것에서 1억8천만원 올랐다.
지은 지 30년 된 강북구 번동 주공1단지 49.94㎡는 지난달 17일 6억원(4층)에 최고가로 거래돼 1년 전 4억6천만원(4층) 보다 1억4천만원 올랐다.
구로구에서는 입주 34년째를 맞은 구로동 한신아파트 44.78㎡가 작년 7월 4억원(5층), 12월 5억원(8층)을 차례로 넘긴 뒤 지난달 10일 5억3천500만원(6층)에 신고가로 계약서를 쓰면서 1년 사이 1억5천만원가량 올랐다.
서울 소형 아파트 평균에는 강남권 재건축 등 고가 아파트 매매가격도 반영됐다.
준공 37년이 넘어 현재 수직 증축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강남구 개포동 삼익대청 51.12㎡의 경우 지난달 2일 15억1천500만원(11층)에 거래되는 등 강남권에서는 이제 15억원이 넘는 소형 아파트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7천629원으로, 10억원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아파트 기준은 전용 60∼85㎡ 이하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집값이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2·4 대책 등으로 인한 공급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최근 상승세가 한풀 꺾인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서울 외곽의 중저가 단지로 내 집 마련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연구위원은 "3기 신도시 청약 당첨을 기대할 수 있는 수요는 내 집 마련에 대한 조급함을 덜었겠지만, 소득 기준에 걸리는 중산층 등 여건이 애매한 일부는 여전히 서울에서 저평가된 집을 찾아 구매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부가 공급 계획을 내보인 만큼 시장의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