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743만명, 임금근로자의 36%…숙박음식업서 감소

입력 2020-10-27 12:00
비정규직 743만명, 임금근로자의 36%…숙박음식업서 감소

코로나에 비정규직도 감소…한시적 비기간제 31만명 줄어

작년 '비정규직 폭증 논란' 통계효과, 이미 반영돼 증감 안정화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이보배 기자 =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가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년 전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중 숙박·음식점업 등의 전체 근로자가 줄면서 비정규직 근로자도 줄어든 영향이다. 다만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 정부의 공공 일자리와 관련된 비정규직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비정규직 742.6만명, 전체의 36.3%…지난해보다 줄어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임금근로자는 2천4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3천명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742만6천명으로, 전체의 36.3%였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5만5천명이 감소하고 비중도 0.1%포인트 하락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중 여자는 55.1%(409만1천명), 남자는 44.9%(333만5천명)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28.7%(213만2천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가 20.8%(154만3천명), 40대가 17.6%(130만8천명), 20대가 17.3%(128만3천명), 30대가 13.8%(102만2천명), 15∼19세가 1.9%(13만8천명) 등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60세 이상은 19만5천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줄었다.

정규직 근로자는 1천302만명으로 전체의 63.7%였다. 지난해보다 5만8천명 줄었으나 비중은 0.1%포인트 상승했다.

◇ 코로나 타격 업종서 비정규직도 줄어…정부 일자리는 증가

비정규직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에 112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건설업(85만9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82만4천명) 순으로 많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코로나19로 타격을 크게 많이 받은 업종에서 비정규직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음식점업에서 7만1천명 줄었고, 제조업도 6만9천명 감소했다.

교육서비스업(-4만1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2천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만4천명)에서도 비정규직이 줄었다.

반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과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는 비정규직이 각각 15만명과 4만명 늘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보건업 중심으로 정부의 재정 일자리가 늘어 해당 업종의 비정규직이 늘었다"며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등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정규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교육 정도는 고졸이 324만1천명(43.6%)으로 가장 많았고 대졸 이상이 252만1천명(33.9%), 중졸 이하가 166만4천명(22.4%)이었다.



◇ 한시적 비기간제 31만명 감소…나머지 유형은 증가

비정규직은 한시적, 시간제, 비전형(특수고용직과 파견·용역 등)으로 나뉜다. 한시적이면서 시간제인 비정규직 등 중복 집계가 있다.

한시적 근로자는 460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7천명 감소했다.

한시적 근로자 중 '근로 기간을 정했다'고 답한 기간제 근로자는 393만3천명으로 13만3천명 증가했다. 비정규직 중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53.0%로 2.2%포인트 상승했다.

한시적 근로자 중 '근로 기간을 정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기간제 근로자는 67만5천명으로 31만명 줄었다. 비정규직 중 차지하는 비중은 9.1%로 4.1%포인트 하락했다.

시간제 근로자는 325만2천명으로 9만7천명 늘었다. 비정규직 중 비중은 43.8%로 1.6%포인트 올랐다. 시간제 근로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18.8시간으로 0.1시간 감소했다.

비전형 근로자는 207만3천명으로 2만8천명 늘었다. 이 중 일일근로는 89만6천명으로 14만8천명 늘었다.

정 과장은 "노인 일자리 등 정부의 재정 일자리가 늘어 한시적 기간제가 증가했고, 이 때문에 전체 '파이' 중 비기간제는 줄어든 부분이 있다"며 "코로나19로 고용 불확실성이 확대돼 계속 근무가 가능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진 것도 비기간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 지난해 반영된 '조사 방식 변경 효과', 올해는 없어

통계청은 지난해 10월에 그해 8월 기준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규직 수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조사 방식 변경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비정규직은 748만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6만7천명 늘었고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중도 36.4%로 3.4%포인트 상승했다.

당시 강신욱 통계청장은 "기존 부가조사에 없었던 고용 예상 기간을 세분화하면서 과거 부가조사에서 포착되지 않은 기간제 근로자가 35만∼50만명 추가로 포착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3월 국제노동기구(ILO) 권고에 따른 병행조사를 처음 시행하면서 부가조사에서도 기간제 근로자를 추가로 포착하게 돼 비정규직 수치가 늘었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커진 비정규직 수치의 수준은 올해도 유사하게 유지됐다. 지난해 크게 뛴 비정규직 수치에 '조사 방식 변경 효과'가 이미 반영됐기에 올해는 그런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정 과장은 "지난해에는 병행조사가 진행되는 3·6·9·12월에 계단식으로 기간제 근로자가 증가하다가 올해 3월부터는 다시 원상태로 가게 됐다"며 "올해 조사에는 지난해 증가한 규모 자체는 반영이 됐으나 증감은 안정화됐다"고 말했다.

charg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