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가짜 약 피해 극심…연 10만명 사망

입력 2020-01-15 16:02
아프리카 가짜 약 피해 극심…연 10만명 사망

"판매 약품 최대 60%가 가짜약…제조지는 중국 또는 인도"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과 맞붙은 아프리카 토고.

이곳에서 재단사로 일하는 아야오 히에비(52)는 4년 전 말라리아와 장티푸스에 걸려 동네 병원에서 처방해 준 약을 복용했다.

그는 곧 회복할 것으로 생각했으나 나흘 간 약을 복용해도 도리어 상태가 악화해 걸을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는 결국 수도 로메에 있는 대학병원으로 이송됐다.

그곳에서 그는 치료를 위해 복용한 말라리아 약과 항생제가 가짜라서 신장이 손상됐다는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을 듣게 됐다.

그는 결국 한쪽 신장을 떼어냈고, 정기적으로 신부전 투석을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됐다.

히에비의 사례처럼 아프리카가 위조 약품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AFP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프리카에서 위조 또는 수준 이하의 약물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은 매년 약 1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추정한다.

전미 열대의학위생학회는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품질이 떨어지는 말라리아 치료제 때문에 목숨을 잃은 5세 이하의 영유아만 하더라도 12만2천명에 달한다고 2015년 추산한 바 있다.



취약한 법제도와 열악한 보건체계, 만연한 빈곤 등이 가짜 의약품을 파는 암시장의 성장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AFP는 지적했다.

2013년 이래 전세계에서 압수되는 가짜 약품의 42%는 아프리카에서 나오고 있을 정도이다.

전문가들은 가장 문제가 되는 약품으로 항생제와 항말라리아제를 꼽고 있다.

가짜약의 경우 환자들의 건강과 목숨을 위협할 뿐 아니라, 정작 우수한 필수 의약품에 대한 거부감도 키운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이런 재앙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토고를 비롯해 콩고, 감비아, 가나, 세네갈, 니제르, 우간다 등 아프리카 7개국 정상은 오는 17일 로메에 모여 가짜약 거래를 불법화하는 데 합의할 예정이다.

서아프리카에서는 가짜약 거래가 광범위한 실정이다. 가짜약 밀매업자들은 보다 엄격한 통제를 거치는 번듯한 약국에서 지불해야 하는 약품 가격보다 훨씬 싼 값에 원산지가 불분명한 조잡한 약들을 판매하고 있다.

이노선트 코운데 크페토 토고 제약협회 회장은 "가짜 약의 원산지를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제조업체는 약품이 식별되지 못하도록 (유통)경로를 감춘다"고 말했다.

아프리카에서 판매되는 약품의 30∼60%는 가짜약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크페토 회장은 대부분의 가짜 약은 중국이나 인도에서 들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아프리카가 가짜약과 전쟁에 나선 가운데, 일부 국가에서는 다소의 진전도 보고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경찰은 작년 11월 수도 아비장에서 200t의 가짜 약을 압수하고, 중국 국적자를 포함해 4명의 밀매업자를 체포했다.

토고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벌어지는 가짜약과 전쟁의 선봉에 선 나라로 평가된다. 2015년 개정된 법에 따라 토고에서 위조 약품 밀매업자들은 최대 20년의 징역형과 8만5천달러(약 9천8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토고 당국은 작년 7월에는 위조 약품 67t을 소각, 가짜 약에 대한 단호한 엄벌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짜약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위협으로 남아 있다고 크페토 회장은 경고했다.

그는 "가짜약 밀매업자들은 1천달러(약 120만원)의 투자로 50만달러(약 5억8천만원)의 짭짤한 수입을 올릴 수 있다"며, 이 때문에 가짜약은 범죄조직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고 귀띔했다.

가짜약은 총기나 마약류와 동일한 방법으로 밀수되면서도 종종 그 수익은 훨씬 더 크다는 설명이다.

한편, 아프리카에서 위조약이 가장 활개를 치고 있는 곳은 나이지리아라고 AFP는 밝혔다.

인구 2억명으로 아프리카 최대의 인구 보유국인 만큼, 나이지리아에서는 가짜약 판매업자가 수만 명에 달하며, 밀수업자들 간의 경쟁도 치열하다는 것이다.

세계관세기구(WCO)는 2016년 9월 아프리카 16개 항구에서 수천만 정의 위조 약을 적발했는데, 이 가운데 35%의 행선지는 나이지리아로 드러났다.

나이지리아의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비비안 은와카는 2017년 나이지리아의 약국과 병원에 공급되는 의약품의 경로를 추적하는 스타트업 '메드사프'(Medsaf)를 창설해 140만달러(약 16억원)의 기금을 모으기도 했다고 AFP는 소개했다.

ykhyun1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