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달 복귀 계획 동참 '구애'…협력국 우주인 달 밟을 수도

입력 2019-10-23 14:10
수정 2019-10-23 14:44
美, 달 복귀 계획 동참 '구애'…협력국 우주인 달 밟을 수도

ISS 운용 ESA·日·加 발 빠르게 참여, 중국은 배제될 듯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미국이 "달에 함께 갈 국제 파트너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하며 2024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달 복귀 계획에 다른 나라가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활짝 열어놓았다. 이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여러 나라 우주인들이 오가는 것처럼 협력 파트너 국가의 우주인이 달을 밟을 수도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협력 파트너 국가는 ISS 운용에 참여하는 국가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이며, 현재 분위기로는 미국의 견제를 받는 중국은 앞선 우주기술에도 달 탐사 국제협력 체제에 끼지 못할 전망이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짐 브라이든스타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워싱턴 D.C.에서 열리고 있는 제70회 국제우주대회(IAC)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함께라면 혼자 했을 때 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달에 갈 때 ISS에 참여해온 모든 파트너를 함께 데려가길 원한다"고 했다.

그는 또 "달에는 많은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어떻게 참여하고 기여할지에 합의할 수 있다면 국제 파트너 모두와 함께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고도 했다.

미국의 달 복귀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달 궤도에 미니 우주정거장인 '게이트웨이'를 건설하고 유인 우주선인 '오리온' 캡슐을 이용해 2024년까지 미국인 남녀 우주인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로선 모든 것을 NASA와 민간기업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우주국(ESA)이 유일하게 파트너로 참여해 오리온에 전기와 물, 공기 등을 공급하는 서비스 모듈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요한 디트리히 뵈르너 ESA 사무총장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 브라이든스타인 국장과 같은 자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우리측 희망 사항이긴 하지만 유럽 우주인의 달 착륙을 위해 NASA와 협의 중"이라고 했다.

뵈르너 사무총장은 나중에 AFP통신과 가진 회견에서 "2024년은 순전히 미국 우주인들만의 달 탐사가 될 것이 확실하다"면서 "유럽 우주인은 2027년 또는 2028년쯤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게이트웨이 거주 모듈 제작 참여를 발표한 일본도 기대를 하는 상황이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야마카와 히로시(山川宏) 이사장은 "JAXA는 일본 우주인을 달 표면에 착륙시키고 싶기 때문에 내게는 매우 명확한 문제"라고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밖에 캐나다도 우주왕복선과 ISS에 사용된 '캐나담(Canadarm)'과 같은 로봇팔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제공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바 있다.

미국과 ISS 운용 참여국들은 달 탐사를 위해 새로운 협력협정을 체결할 시간이 없는 만큼 ISS 운용협정을 게이트웨이로 확대해 이용하는 방안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있다.

ISS 운용 협정에는 미국과 러시아, 일본, 캐나다 등과 ESA 회원국인 유럽 11개국 등 총 1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ISS는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건설되면서 냉전 이후 미국과 러시아 간 우주 협력의 상징처럼 여겨졌지만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러시아가 참여할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중국은 올해 초 창어4호를 인류 최초로 달의 뒷면에 착륙시키며 우주 굴기를 과시했지만 국가안보와 기술이전 우려 등을 이유로 미국의 견제를 받는 상황이어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 의회는 중국과의 우주분야 협력을 분명하게 금지하는 법을 제정해 놓고 있다.

IAC 개막연설을 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자유를 사랑하는 국가들과" 함께 일하길 원한다고 7차례나 강조한 것도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국가항천국(CNSA)의 우옌화(吳艶華) 부국장이 다른 나라 우주기구 수장들과 IAC 개막연설 일정이 잡혀있었지만 참석하지 못한 것이 "시간이 맞지 않아서"가 아니라 미국 당국으로부터 비자를 발급받는 데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중국 측 보도도 나오고 있다.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