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교각·터널 안전진단에 ICT 적용…스마트SOC구축 본격화

입력 2019-04-30 14:00
서울 교각·터널 안전진단에 ICT 적용…스마트SOC구축 본격화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올해부터 서울 시내 교각과 터널 등의 안전 진단을 할 때 드론 등 첨단 ICT(정보통신기술)가 적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대구시 국가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비즈니스센터에서 '2019 스마트 SOC 사업 착수 보고회'를 열어 사업성과와 향후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작년부터 초고속 네트워크·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첨단 ICT를 활용해 국가 인프라(SOC)를 지능화하는 스마트 SOC사업을 추진해왔다.

올해에는 서울 시내 교각과 터널 등의 안전진단과 사고 예방을 위해 지능정보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현재는 이들 시설의 이상 유무 판단을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고 있어 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한 대응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청담대교·탄천2고가교·홍지문터널을 대상으로 드론·음파·소음 분석 기술 등을 이용해 교각 균열, 터널 내 사고 등에 실시간 대응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한다.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시민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 하수처리에 사용되는 많은 에너지를 절감하는 사업도 시작한다.

현재는 하수처리 시스템의 한계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지 못하며, 하수처리를 위해 많은 전력이 사용되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환경공단은 경북 봉화군 하수처리장 2개소에 유입, 방류되는 수질, 하수처리를 위한 전력사용량, 각종 장비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해 하수처리시설을 최적의 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시범 운영한다.

과기정통부는 작년부터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생활을 위해 ▲ 지하역사 공조장치 ▲ 교통 신호체계 ▲ 도시 관제 시스템 등 3개의 인프라 지능화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