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담판] 협상 이끄는 실무 4인방에 눈길…김영철 없어 주목
실무라인 '핵심 중 핵심' 김혁철, 대미라인 '실세' 김성혜 부각
'협상라인 배제 모양새' 리용호·최선희 '건재' 과시
(하노이=연합뉴스) 특별취재단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노이 담판'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북측이 27일 이례적으로 김 위원장과 실무대표단의 회의 모습을 공개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라는 중대 행사를 앞두고 북측이 핵심 지도부의 회의 모습을 공개한 것은 전례를 찾기 힘든 일이다. 정상회담 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미국과의 협상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2면에 김 위원장이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제2차 조미(북미)수뇌회담 실무대표단의 사업정형(결과)을 보고받았다"고 밝히며 회의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안경을 쓴 김 위원장이 원탁 테이블에 앉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그 옆으로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부상,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이 김 위원장의 지시를 들으며 앉아 있다.
김 대미특별대표는 북측 실무대표단의 '핵심 중 핵심'으로 지난 20일 하노이에 먼저 도착해 미국 측 파트너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의제 협상을 진행해 왔다.
21일부터 닷새간 매일 비건 대북특별대표를 만나고 때로는 '마라톤 회의'를 하면서 북측의 비핵화 조치에 상응하는 미국 측의 조치를 협상했다. 25일 열린 마지막 회의는 불과 30분간 진행돼 북미간 의제가 상당히 좁혀진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이 과정에서 김성혜 통일정책실장의 존재감도 눈에 띈다. 김 통일정책실장은 지난해 남북대화국면은 물론 제1차 북미정상회담의 사전 협상과 막판 조율 과정에 모두 참석하며 북한의 대남·대미 정책의 '실세'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비건 대북특별대표와의 회의에도 김 대미특별대표와 동석했는데, 회의 중간중간 외출하는 모습이 포착돼 눈길을 끌었다. 미국 측과의 논의 결과를 평양에 보고하고 지시를 받아 북측 대표단에 전달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사실 과거에는 대미협상은 외무성이, 대남협상은 통일전선부가 전담하며 대남업무를 담당하는 인사가 핵 협상에 간여하기 어려웠지만, 작년부터 이뤄진 한반도 정세가 남쪽의 국가정보원과 북한의 통전부, 미국의 중앙정보국(CIA) 간의 협상을 통해 이뤄지며 김 실장의 역할도 커졌다.
노동신문이 이날 공개한 사진에서는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부상의 건재도 확인됐다.
최 부상은 이번 사전협상 과정에서 제외되며 통일전선부 김혁철-김성혜 라인에 자리를 뺏긴 듯한 모양새가 연출됐다.
지난해 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최 부상의 발언을 이유로 회담 취소를 통보하는 등 미국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는 이미지도 있어 대미 협상 라인에서 영향력이 쇠퇴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노동신문 사진을 보면 북측 실무대표단 4인 중 한 명으로 자리를 지키며 김정은 위원장의 바로 옆에 위치해 여전히 대미협상의 키맨임이 확인된 셈이다.
최 부상은 앞서 1차 북미정상회담 때 성 김 필리핀 주재 미국대사와 파트너로 회담 의제를 막판까지 조율하고 회담 당일에도 김 위원장의 곁을 지킨 바 있다. 지난달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북미 간 '합숙 담판'에도 북측 대표로 참석해 비건 대표와 회동했다.
리 외무상 역시 작년 내내 대미협상자의 역할을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에게 내주며 외곽으로 밀려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하지만 이번 원탁회의의 멤버로 당당히 모습을 드러내 북핵 협상과정에 적잖은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한편 회의 석상에는 그동안 두 차례 방미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파트너로 활약해온 김영철 당 부위원장의 모습은 없어 눈길을 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보다 먼저 하노이를 방문한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만남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나오고 있지만, 확인은 되지 않고 있다.
oh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