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무대의 위기…남산예술센터·명동예술극장 운영 논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남산예술센터·명동예술극장 등 연극인이 주로 서는 극장들에 관한 여러 논란이 계속되면서 연극계가 우려에 휩싸였다.
16일 연극계에 따르면 '공공극장으로서의 드라마센터 정상화를 위한 연극인 비상대책회의'는 11일 김종휘 대표 등 서울문화재단 관계자들과 우연 남산예술센터 극장장 등 연극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극장의 운영원리와 독립성·자율성 보장을 위한 긴급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연극인들은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존폐에 관한 우려를 공유하고, 서울문화재단 내부의 조직개편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1962년 남산 중턱에 개관한 남산예술센터는 현재 학교법인 동랑예술원(서울예대) 소유로, 서울시가 임차해 서울문화재단에서 위탁 운영해왔다.
2020년까지 계약 연장이 이뤄진 상태다.
그러나 지난해 동랑예술원이 서울시에 임대계약을 종료할 것이라고 통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남산예술센터의 공공성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설상가상으로 지난해 말 서울문화재단 이사회가 그동안 독립 본부로 존재하던 남산예술센터와 삼일로 창고극장을 지역문화본부 산하 '극장운영팀'으로 배치하는 조직개편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극장의 총괄 운영 및 결정 권한을 지역문화본부장에게 일임함에 따라 기존 극장장 직제와 권한은 없어지고 극장장은 남산예술센터 공동제작 작품의 예술감독 보직만 담당한다.
연극인들은 "공공극장으로서 남산예술센터가 한국연극계에 기여했던 역할 및 정체성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남산예술센터가 정체성을 상실하고 향후 기타 지역 문화와 생활예술 공간과 같은 맥락에서 운영될 확률 또한 배제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연 남산예술센터 극장장은 "남산국악당도 최근 중구문화재단과 메타기획컨설팅이 운영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협치라는 명목하에 민간 위탁 극장 운영에 기초문화재단이 참여하고 있다"며 "공공극장은 지역문화만을 위한 장소가 아니고, 예술의 독립성이 확보되려면 극장이 정책 수단화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드라마센터에 대해서는 "단순히 계약 연장을 하는 것은 문제 해결이 아니고, 드라마센터를 공공극장화하는 제대로 된 해결책이 나와야 한다"며 "논의가 진행되려면 서울예대 쪽에서 반응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아무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남산예술센터는 동랑예술원과의 갈등 사태를 다룬 연극을 만들었고, 비대위 측은 남산예술센터 역사 등과 관련한 새로운 자료들을 책으로 엮을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에도 계속 성명서 및 항의서를 보내 관심을 촉구한다.
서울 명동 중심에 있는 명동예술극장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서울시나 중구청으로 이관해 K팝을 소개하는 등 다른 용도로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제안이 나와 연극계 걱정을 가중시켰다.
1934년에 개관한 명동예술극장은 1975년 한때 사라졌지만, 2009년 재개관한 국내 유일의 정통 연극 전문 공연장이다. 국내 대표 연극극단인 국립극단의 주 공연장이기도 하다.
이번 제안은 황동하 명동관광특구협의회장이 이달초 진행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여행업협회, 명동관광특구협의회, 명동상인회 등 관광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제기했다.
이 대표는 문체부에 관련 내용을 검토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문체부가 극립극단에 "명동예술극장 현황을 공유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용도 변경 가능성이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이성열 국립극단 감독은 "명동예술극장은 그 지역의 경제를 위해서가 아니라 전 국민의 문화향유권을 위해 존재하는 곳"이라며 "역사도 깊고 공연예술, 특히 연극의 상징적인 요람 같은 곳인데 이를 상업적인 공간으로 활용한다면 빼앗긴 국민의 문화향유권은 누가 보장해줄 수 있느냐"고 우려했다.
이 감독은 "외국에는 국립극단도, 공공극장도 여러 개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극단도 하나고 극장도 손에 꼽는다"며 "예술을 자본의 논리로 좌지우지하려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bookmani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