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대규모 사업체 월급 16.2% 증가…"성과급 지급 영향"

입력 2018-05-30 12:00
1분기 대규모 사업체 월급 16.2% 증가…"성과급 지급 영향"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소규모 사업체는 4.9% 증가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올해 1분기 국내 300인 이상 사업체 월급이 대기업의 성과급 지급 등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월급은 소폭 인상에 그쳤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18년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3월 상용직 노동자 5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1인당 월 평균 임금 총액은 391만7천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1%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1인당 월 평균 임금 총액은 629만2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6.2% 증가했다. 5∼300인 사업체의 경우 335만8천원으로, 4.9% 증가했다.

노동부는 "300인 이상 사업체의 임금총액이 크게 증가한 것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임금협상 타결금, 1차 금속 제조, 항공운송, 금융·보험업의 성과급 지급 등으로 특별급여가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3월 한 달만 놓고 보면 5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월 평균 임금 총액은 357만7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5.4% 증가했다. 상용직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총액은 376만7천원이었고 임시·일용직은 157만4천원이었다.

올해 1분기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1인당 월 평균 노동시간은 165.4시간으로, 작년 동기보다 5.0시간 줄었다. 이는 월 평균 근로일수(19.9일)가 작년 동기보다 0.5일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상용직 300인 이상 사업체는 월 평균 노동시간이 163.6시간으로, 4.2시간 감소했다. 5∼300인 사업체는 165.8시간으로, 5.2시간 감소했다.

4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으로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 수는 1천780만8천명으로, 작년 같은 시점보다 25만9천명(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상용직 노동자는 19만1천명(1.3%),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5만명(2.8%) 증가했다. 업무 습득을 위해 급여 없이 일하는 사람을 포함하는 '기타 종사자'는 1만7천명(1.6%) 늘었다.

업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5%), 도매 및 소매업(2.2%),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5%) 등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전체 산업 종사자 21%를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0.1% 늘어 소폭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구조조정에 들어간 조선업을 포함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에서는 1만7천명이 줄어 감소세가 계속됐다.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고용 감소가 예상됐던 숙박·음식업의 종사자는 112만4천명으로, 소폭(0.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임금과 노동시간 등 노동 실태와 고용 동향을 분석한 자료로, 농림·어업, 가사 서비스업, 외국 기관 종사자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ljglo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