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돼지농가 'A형 백신' 1년 전 경고에도 '무방비'

입력 2018-03-27 14:17
전국 돼지농가 'A형 백신' 1년 전 경고에도 '무방비'

경제적 비용 이유로 3년전 돼지만 백신종류 줄여

농식품부 "돼지도 O형→O+A형 백신으로 확대 검토"

(세종=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국내 돼지 농가에서 사상 처음으로 'A형'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방역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지난해 소 농가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돼지도 안심할 수 없다는 경고가 있었음에도 당국이 돼지 농가의 A형 구제역 발생 가능성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뒤늦게 돼지 상시 백신 종류를 다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0년 최악의 '구제역 파동'을 겪은 이후 구제역 백신 접종이 의무화됐다.

총 7가지 혈청형이 있는 구제역에는 혈청형별 백신으로 바이러스 방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혈청형 종류가 추가될 때마다 백신 비용도 올라간다.

정부는 과거 돼지 농가에 'O형', 'A형' 'Asia형' 등 세 가지 혈청형을 방어할 수 있는 3가 백신(O+A+Asia1형)을 상시 백신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2016년 1월 열린 농식품부 가축방역심의회에서 O형만 방어 가능한 단가 백신을 돼지용 상시 백신으로 바꿨다.

당시까지만 해도 국내 돼지 농가에서는 A형이 발생한 사례가 없었다.

전 세계적으로도 A형 구제역 발생 사례 87건 중 돼지 발병사례는 단 3건(3%) 정도에 불과하다. 국가별로는 중국 돼지농가에서만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 돼지 총 사육두수가 1천100만 마리로 한우보다 압도적으로 많아 백신 비용이 비싸다는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지난해 경기 연천의 소 농가에서 A형이 발생하면서 돼지 농가에서도 A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내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이 모두 한강수계 이북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적어도 이 지역에서만큼은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당시 농식품부는 연천 등 일부 지역 돼지 농가에 한해 O+A형 백신 접종을 긴급 실시했을 뿐, 이후에도 돼지에는 O형 백신 정책을 고수했다.

한시적으로나마 A형 접종이 된 돼지 마릿수도 30만 마리 정도로, 전체 사육두수의 2.7%에 불과하다.

지난해 '경고'에도 O형 백신 접종 정책만 고수하면서 돼지 농가를 사실상 무방비 상태로 놔뒀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농식품부는 이날 김포 돼지농가가 A형 구제역으로 확진되자 경기도 전역과 돼지 밀집 사육지역인 충남도 내 모든 돼지농가에 O+A형 백신을 긴급 접종하기로 했다.

그러나 백신을 맞더라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는 1∼2주 정도 걸리는 점과 잠복기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약 일주일이 고비가 될 전망이다.

돼지 상시백신을 아예 O+A형으로 다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박봉균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이날 긴급 브리핑에서 "과거 돼지에도 O+A 접종을 했지만 일부 생산자단체에서 백신 접종에 따른 이상육 발생 부작용 가능성을 계속 제기했고 (당시만 해도) 돼지에서 A형이 발생한 적이 없어 3년 전 A형 백신을 돼지 상신 백신에서 뺐다"고 설명했다.

박 본부장은 "이번을 계기로 다시 돼지에 O+A를 쓰는 쪽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