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1호기 해체시 방사성폐기물 배출 최소화해야"

입력 2017-09-11 11:26
수정 2017-09-11 11:35
"고리1호기 해체시 방사성폐기물 배출 최소화해야"

한수원·한양대, 원전해체 준비 국제 워크숍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지난 6월 영구정지한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과정에서 안전기준을 너무 보수적으로 설정해 방사성 폐기물이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순흥 한동대학교 총장은 11일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공동으로 한양대 서울캠퍼스에서 개최한 원전 해체 준비를 위한 국제 워크숍에서 "해체 작업을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도 필수적으로 고민해야 할 내용"이라고 말했다.

장 총장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일본 정부가 방사선으로 인한 주민 대피 기준을 너무 높게 잡아 불필요하게 많은 주민을 대피시켰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컸다고 주장했다.

장 총장은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사선으로 죽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며 "오히려 대피해서 임시 거처로 옮기는 도중이나 임시 거처에서 생활이 불편해 사망한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장 총장은 "너무 보수적인 게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며 "안전규제 기준을 적절하게 잘해서 쓸데없는 폐기물이 많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종배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은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안전문제"라며 "어떻게 해체해야 작업종사자의 피폭을 더 줄일 수 있는지, 어떻게 해체하면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는지 안전관점에서 더 많은 고민과 준비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워크숍에서는 지난 6월 영구 정지한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와 관련, 국내외 전문가가 모여 각국의 원전 해체 경험과 기술 등을 논의했다.

한수원 중앙연구원의 손욱 박사는 고리 1호기 해체의 어려움을 설명하면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하는 원전 해체라 관련 경험이나 공급망 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원전은 2기씩 쌍으로 짓는데 고리 1호기의 경우 아직 가동 중인 2호기와 여러 시스템을 공유하고 있어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1호기를 차단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또 1호기가 2호기와 근접한 탓에 1호기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오염을 정화하고 일시적으로 보관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은 환영사에서 "한수원은 해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21년까지 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며 여러 사내외 해체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해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고리 1호기를 해체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원전 해체시장은 정부가 가동 중인 원전 28기의 수명연장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2017년부터 2093년까지 총 156억 달러(한화 17조6천억원, 1기당 5억6천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