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언제쯤…대구시·경북도 4년간 미적미적
작년 2월 이후 협의회 회의 중단…반대 여론 설득 노력 부족 지적
팔공산에 멸종위기종, 국보 등 보존가치 높은 역사·생태자원 산재
(대구=연합뉴스) 최수호 기자 = 대구시와 경북도가 2012년 말부터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했으나 4년이 넘도록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8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1980년 5월 팔공산을 경북도립공원으로 지정했다. 1981년 7월 대구시가 경북도에서 광역시로 승격·분리함에 따라 전체 공원면적 125㎢ 가운데 도가 72%인 90㎢를, 나머지 28%(35㎢)를 시가 관리하고 있다.
그 뒤 공원관리사무소 설치·운영 등에서 효율성 문제가 있다는 여론이 일자 학계·시민사회단체 등은 "팔공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팔공산 국립공원화로 생산 파급효과 2천159억원, 소득 파급효과 381억원, 부가가치 파급효과 1천8억원 등이 생길 것이란 학계 연구결과도 나왔다.
이에 시와 도는 2012년 12월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행정구역별로 관리하던 팔공산을 체계적으로 보전하는 것에 뜻을 모았다.
국립공원 승격 위한 공동연구, 팔공산 역사·문화·생태 조사, 둘레길 등 산림문화 휴양공간 조성, 산림생태 관광 콘텐츠 개발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팔공산 인근 주민이 "국립공원으로 승격하면 각종 행위 제한 강도가 높아진다"는 등 우려를 제기하자 합동으로 설명회도 열었다.
더구나 2013년 10월∼2015년 1월 시와 도가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 팔공산에는 보존할 가치가 높은 역사·문화·생태자원이 산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최대 규모인 복수초 군락지를 비롯해 맹꽁이, 수달, 삵, 하늘다람쥐, 독수리 등 멸종위기 희귀종 12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11종, 한반도 고유 동식물 61종도 있다.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등 국보 2점, 보물 28점, 시·도 유형문화재 35점 등도 있다.
그러나 팔공산 주변 주민 사이에서 국립공원 지정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반대 주민은 "팔공산에는 사유지가 많다"며 "적절한 보상책 마련, 주민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한데 시와 도가 마땅한 대책 없이 공익을 이유로 일을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도 시와 도는 반대 여론 설득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 실무협의회 회의는 작년 2월을 마지막으로 중단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이 구체적 성과를 거두려면 행정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광주광역시는 2010년 강운태 시장 당시 무등산 국립공원 승격 추진에 나서 2012년 12월 결실을 거뒀다.
상황이 이렇자 시와 도는 우선 2018년 말까지 93억원을 들여 팔공산 주변 108㎞에 둘레길을 만든 뒤 국립공원 추진 여론을 다시 조성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실무협의회는 열지 않고 있으나 실무자들끼리 계속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대 주민 설득에 나설 방침이다"고 밝혔다.
su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