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해도 나 혼자 산다…기혼 1인 가구 312만 시대
배우자와 사별했거나 일 때문에 따로 사는 탓
일하는 1인 가구는 55.1%에 그쳐…고령 비중 높기 때문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1인 가구 절반 이상은 결혼했는데도 혼자 살고 있었다.
배우자와 사별해 혼자 사는 고령층이 늘어나고, 일 때문에 가족과 떨어져 사는 가구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6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27만9천 가구로 1년 전보다 3.3% 늘었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0.6%포인트 상승한 27.8%로 집계됐다.
기혼 1인 가구가 311만8천 가구(59.1%)로, 미혼(216만1천 가구·40.9%)보다 많았다.
성별로 보면 여성(56.5%)의 1인 가구 비중이 남성(43.5%)보다 13.0%포인트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고 사는 할머니, 할아버지도 기혼으로 분류된다"며 "1인 가구에서 여성, 기혼 비중이 높은 것은 고령화 영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직업 때문에 혼자 사는 기러기 가구의 영향도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과 전남(이상 33.5%)이었다.
울산은 1인 가구 비중이 23.7%로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에서 가장 낮았다.
1인 가구 중 취업자는 전년보다 2.3% 늘어난 290만9천 가구로 집계됐다.
전체 1인 가구 중 55.1%만 취업 상태인 셈이다.
이는 같은 달 기준 전체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중(61.1%)보다 6.0%포인트 낮은 것이다.
1인 가구에서 고령층 비중이 높아 일하기 어려운 가구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뜯어보면 30대가 22.6%(65만7천 가구)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22.2%(64만5천 가구), 50대(19.5%·56만6천 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달 기준 전체 취업자와 견줘봤을 때 30대 비중은 비슷했지만 60대 비중은 6.6%포인트, 50대는 3.8%포인트 더 높았다.
전체 취업자에서 25.0%에 달했던 40대 비중은 1인 가구 취업자 중에서 16.9%에 그쳤다.
60세 이상과 50대에선 취업자인 1인 가구가 전년보다 각각 5.7%, 4.4% 늘어나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취업자인 1인 가구 중 미혼은 51.1%(148만6천 가구), 기혼은 48.9%(142만3천 가구)였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취업자가 37.2%(108만3천 가구), 도소매·숙박음식점엄 22.0%(64만 가구) 순으로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건설업(13.6%), 전기·운수·통신·금융업(5.1%)에서 컸다.
직업별로 보면 전문직인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19.8%(57만7천 가구)로 가장 많았으나 2위가 단순노무종사자(17.1%·49만7천 가구)일 정도로 1인 취업자 가구 간의 격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임금 근로자는 76.7%(223만1천 가구), 자영업자 등 비임금 근로자는 23.3%(67만8천 가구)로 나타났다.
임금 근로자를 다시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근로자로 나눠 보면 상용근로자 비중이 63.5%로 더 높았다. 그러나 이 비중은 전년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울산은 1인 가구 고용률이 63.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대구와 부산은 1인 가구 고용률이 45.4%에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