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당선] 美언론들 "文, 北포용론자"…한반도 지정학 변화 주목

입력 2017-05-10 02:03
[문재인 당선] 美언론들 "文, 北포용론자"…한반도 지정학 변화 주목

WSJ "서울-워싱턴 마찰 가능성"…NYT "트럼프, 핵심동맹국의 정책변화 직면"

USA투데이 "균열 생길 수 있어"…타임 "재벌개혁 실행 지켜볼 일"



(뉴욕 로스앤젤레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준서 옥철 국기헌 특파원 = 미국 언론들은 9일 실시된 한국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당선된 사실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한국이 북한에 대해 더욱 유화적인 접근법을 취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에 주목했다. 강도 높은 대북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충돌이 불거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라고 할 수 있다.

미 언론들은 아울러 전임 박근혜 정부와 미군이 합의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국 배치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는 시각도 드러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남북 관계개선 지지자가 승리했다'는 제목의 서울발 온라인 톱기사에서 "인도적 측면에서 북한을 지원하자는 이른바 '햇볕정책'의 옹호자"라고 전했다.

특히 지난 1월 출간된 저서에서 한국이 "미국에 '노(no)'라고 할 줄 알아야 한다"고 밝힌 사실을 언급하면서 "전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극적인 변화가 예상된다"며 "한국이 미국의 대북 공조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행정부가 남북 직접대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전망하면서 서울과 워싱턴 사이의 마찰(friction)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WSJ은 문재인 당선인의 인생역정을 다룬 별도의 기사에서 1950년 12월 흥남철수 때 미군 함정을 타고 남쪽으로 피난한 실향민 가정에서 태어났다고 소개하면서 "문재인 당선인과 북한의 복잡한 관계는 그의 출생 이전부터 시작됐다"고 전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서울발 기사에서 "문재인 후보의 당선은 북핵 이슈로 대치 중인 (한반도의) 지정학을 뒤흔들 수 있다"면서 "전임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 대화와 이산가족 상봉, 경제교류 재개 등을 추구할 수 있다"면서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핵심 동맹국이 대북 화해정책을 추구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중국이 문재인 정부 출범을 환영하고 있다는 기류도 전했다.

일단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문재인 당선인은 북한에 대한 포용정책 재개를 원하기 때문에 한미 관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CNN방송도 문 당선인이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추진하고 미군의 한반도 사드배치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 같은 입장은 박근혜 정부의 강경 보수 정책과는 상반된 것으로, 한국의 기존 대북정책을 흔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 전국 일간지 USA투데이는 "한국과 미국 사이에 북한 문제를 둘러싸고 균열(rift)을 일으킬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면서 "그동안 보수적인 비판가들은 문 후보가 1998∼2008년의 햇볕정책을 부활시킬 것을 우려해왔다"고 전했다.



일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는 "한국민들이 중도좌파 후보에 투표했다"면서 "문 후보 당선은 10년간의 보수 정파 통치를 종식함과 동시에 보수적 정책을 써온 앞선 두 정권으로부터의 이데올로기 전환을 뜻한다"고 평가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문 당선인이 재벌개혁을 실행할 것"이라며 "한국에서 부의 55%를 차지하지만 고용은 5%밖에 담당하지 않는 재벌을 개혁하고자 하는 의지가 확고하다. 8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한 공약도 지켜볼 일"이라고 평했다.

멕시코 일간 엑셀시오르와 엘 솔 데 메히코는 방송 3사의 출구 조사 결과를 인용해 문재인 후보의 당선 소식을 앞다퉈 전했다.

허핑턴 포스트 멕시코는 문재인의 대선 승리로 한국은 10년 만에 정권 교체를 이뤘다며 이번 대선이 북한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새 대통령은 앞으로 경제위기·불평등·실업문제 등의 과제를 풀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