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만 들고 취업 도움은 안돼" 대학 졸업유예자 급감

입력 2017-02-14 11:20
수정 2017-02-14 11:23
"돈만 들고 취업 도움은 안돼" 대학 졸업유예자 급감

전북지역 대학들 2년여 전부터 감소세로 전환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취업난에 허덕이는 대학가의 한 흐름이었던 졸업 유예가 최근 시들해지는 분위기다.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지만 정작 취업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다.

14일 전북대에 따르면 2014년 946명이었던 학부 졸업 유예 신청자는 2015년 888명, 지난해 575명으로 매년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주대도 매년 증가세를 보이던 졸업 유예 신청자가 2014년 854명을 기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서 2015년 834명, 지난해 649명을 나타냈다.

올 1학기에도 287명에 그쳐 전체 졸업 유예 신청자는 500명 안팎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우석대 역시 2015년 284명에서 작년 171명, 올해 1학기 89명 등으로 확연한 감소세다.

전북지역 대학가의 이런 경향은 '비용 대비 효과'가 확실치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일부 대학은 졸업 유예를 한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일정 학점 이상을 듣도록 하고 수십만원의 등록금을 받고 있다.

사실상 '백수'인 대학생들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그러나 기업들이 학교에 적을 두고 있는 학생이라고 해서 채용 과정에서 가점을 주거나 졸업생이라고 해서 점수를 깎지는 않는다고 한다.

더구나 성적표 등을 보면 졸업 유예자라는 점이 명확히 드러난다.

전북대 관계자는 "채용박람회 등에 참여하는 기업마다 졸업 유예자에 대한 특혜는 없다고 누차 설명하면서 학생들의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며 "정상적으로 졸업하고 취업 준비에 전념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확산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은근히 졸업 유예를 유도했던 대학들의 정책이 바뀌고 있는 것도 한 이유로 분석된다.

교육부가 그동안 학교 평가의 주요 지표였던 '재학생 충원율'에 대한 배점을 낮추면서 굳이 학생을 잡아둘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대학들이 졸업생에게 도서관 등 학교 시설을 이용하는 데 별다른 불편을 주지 않는 점도 한 이유로 꼽힌다.

전주대 관계자는 "지방대생이 특히 관심을 두는 공무원과 공기업 분야에는 졸업 유예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별 도움이 안 되는 졸업 유예를 해야 할 이유가 없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doin1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