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가입자 700만 눈앞…생존 경쟁 '치열'

입력 2017-02-12 09:00
알뜰폰 가입자 700만 눈앞…생존 경쟁 '치열'

2년 전부터 성장세 둔화…요금제·서비스 강화로 활로 모색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알뜰폰이 본격 도입 6년 만에 가입자 700만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2년 전부터 성장세가 둔화하며 생존을 위한 업체들의 몸부림은 절박해졌다.

알뜰폰 업계는 요금제 다양화와 고객 서비스 강화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찾는 데 힘을 쏟고 있다.

◇ 10명 중 1명은 알뜰폰…성장 둔화기 진입

12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 수는 작년 12월 기준 684만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11.4%를 차지한다. 10명 중 1명은 알뜰폰을 사용하는 셈이다.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이달이나 다음 달 7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2011년 첫선을 보인 알뜰폰은 이동통신 3사로부터 망을 빌려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 통신사와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현재 알뜰폰 업체는 약 40곳에 달한다.

알뜰폰은 방송통신위원회가 활성화 종합 계획을 발표한 2012년부터 급격히 성장했다. 가입자 수는 2012년 말 127만명에서 2013년 248만명, 2014년 458만명으로 갑절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5년에는 592만명으로 증가율이 30% 수준으로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는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입자가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10% 수준에 도달하면서 성장세가 둔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성장세 둔화는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알뜰폰 업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알뜰폰 업계의 전체 영업 손실 규모는 2012년 562억원, 2013년 908억원, 2014년 965억원, 2015년 511억원에 달한다. 2015년 매출 규모는 6천700억대로 이동통신 3사의 3% 수준에 불과하다.



◇ 제로 요금제부터 통합 멤버십까지 활로 찾기

알뜰폰 업계는 생존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한 '제로 요금제'가 대표적이다.

에넥스텔레콤은 작년 1월 기본료 없이 음성 통화 50분을 제공하는 요금제를 내놓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11월에도 2년 약정 시 기본료 없이 무료 데이터 100MB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출시해 첫날에만 3천명의 가입자를 끌어모았다.

요금제가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면서 이지모바일도 기존 통신사보다 20% 이상 저렴한 월 2만9천700원에 데이터 6GB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내놓았고, 헬로모바일은 올해 초 쓰다 남은 데이터를 요금 할인으로 돌려주는 유심 요금제를 선보였다.

이에 힘입어 LTE 알뜰폰 가입자는 2015년 말 87만명에서 작년 말 153만명으로 배 가까이 급증했다.

알뜰폰 업계는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약정 시 기본료를 깎아주는 '반값 요금제'와 통신비를 할인받을 수 있는 제휴카드도 앞다퉈 늘리고 있다.

기존 우체국 중심의 유통망은 편의점과 온라인 등으로 확대하고 있고, 판매 단말도 갤럭시S7과 V20 등 프리미엄폰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그동안 단점으로 제기돼온 부가 서비스를 보완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4월 통합 멤버십 서비스 '알뜰폰 케어'를 선보일 예정이다. 협회 소속 사업자 17곳이 고객으로부터 일정 금액을 받고 단말기 분실·파손보험, 음원 스트리밍, 24시간 의료상담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도 올해 주요 정책 목표를 알뜰폰 경쟁력 강화로 정하고, 망을 빌리는 대가인 도매 대가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9월 종료 예정인 알뜰폰 업체의 전파 사용료 감면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작년에 한 차례 연장한 터라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

현재 국회 본회의에는 통신사의 도매 제공 의무기간을 2019년 9월까지 3년 연장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올라가 있다.

녹색소비자연대 관계자는 "자구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책도 중요하다"며 "알뜰폰이 통신비 절감에 기여한 역할을 고려해 전파사용료를 영구 면제하고, 공적 기관을 이용해 유통점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okk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