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해도 '걱정'…"더 센게 온다" [정경준의 주식어때]

입력 2024-07-07 17:09
수정 2024-09-10 16:09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 당신만 모르는 주식투자의 불변의 법칙입니다. 사상 유례없는 복합위기의 시대, 성공 투자의 절대 공식은 사라진지 이미 오래.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주식공부,




"경기침체의 시작인가?"

현지시간 지난 5일 발표된 미국의 6월 실업률은 4.1%.

전달의 4.0%, 시장예상치 4.0% 보다 올라간 것은 물론,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앞선 지난 4~5월의 고용지표도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다. 5월 고용 증가폭은 27만2천명에서 21만8천명으로, 4월 고용 증가 폭은 16만5천명에서 10만8천명으로 다시 재조정됐다.

시장은 즉각 환호했다.

그간 물가 상승을 압박해온 뜨거운 노동시장이 냉각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시장은 베팅했다.

그러나 뭔가 개운치 않은게 사실.

고용지표에 앞서 나온, 미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5를 기록했다.

시장예상치는 물론, 앞선 지난 5월의 48.7을 밑돌았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업황의 위축과 확장을 가늠하는데 3개월 연속 위축된데 이어 6월에는 위축 정도가 더 강해졌다.

제조업 PMI와 함께 그간 미 경제의 연착륙을 견인해 왔던 서비스업 지수도 큰 폭의 부진을 보였다.

미국의 6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8. 지난 2020년 5월(45.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당시는 코로나19가 한창 절정이었던 시기다.

그간 견조하던 노동시장이 냉각양상을 보이고 성장 속도도 느려지면서 미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싹트고 있다.

당장 미국 경제가 급속도로 침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게 증시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지만, 앞으로의 일은 아무도 모르는 것.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경제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통해 "금리 인하 기대감이 강화됐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금리인하 성격이 변화되고 있음은 탐탁치 않다"고 밝혔다.

그는 "그 동안 미 연준의 금리인하는 미국 경제의 연착륙하에서 물가 압력 둔화에 따른 디스인플레이션 컷(물가둔화발 금리인하)을 기대했지만 일련의 경제지표 둔화를 고려하면 경기침체를 방어하기 위한 소위 보험성(Insurance) 금리인하 성격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그러면서 "같은 금리인하라 하더라도 경기의 급격한 둔화 혹은 침체를 막기 위한 금리인하라면 주식시장이 미 연준의 금리인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못할 여지가 크다"고 강조했다.

경기침체는 막상 닥치면 그 침체의 깊이와 얼마나 오랫동안 이어질지 아무로 모른다는게 가장 공포스러운 점.

이러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 주식시장 역시도 충격파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금리인하 기대에 맹목적으로 환호하기 보다는 금리인하 성격의 변화 여부에 대한 관심도 필요해 보이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