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밥족 잡기' 경쟁…간편식 매출 급증

입력 2024-05-27 07:20


외식비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가정간편식(HMR)과 즉석조리 상품이 온오프라인 시장 모두에서 인기를 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의 신선식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 늘었다. 즉석조리 식품을 판매하는 델리는 6%, 가정간편식은 5% 각각 매출이 증가했다.

홈플러스도 온라인 기준으로 1∼3월 판매된 신선식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가정간편식은 20% 각각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이점이 있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식품 매출 성장세도 뚜렷하다.

지난 1∼5월 기준 신세계그룹 계열 이커머스 플랫폼 G마켓의 장보기 서비스 전문관인 '스마일프레시'의 신선식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나 늘었다.

품목별 매출 증가율을 보면 잎줄기채소가 84%로 가장 높았고 버섯·나물류 62%, 닭고기·달걀 51%, 견과류 48%, 생선·뿌리채소 각 38%, 잡곡·혼합곡 35%, 김치 34% 등이다.

SSG닷컴에서는 김밥과 샌드위치 등의 즉석 조리식품과 가정간편식 매출이 나란히 40%씩 증가했다.

지난해 2월 선보인 11번가 장보기 서비스 '신선밥상'도 지난 2∼4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7% 급증하며 전체 플랫폼 매출을 끌어올리는 효자 노릇을 했다.

올해 신선밥상은 매달 매출이 전달 대비 10∼20% 성장을 이어가는 중이다.

식품이 주력인 컬리는 올해 1분기 신선·가공식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창사 이래 첫 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이마트의 '가격파격', '가격 역주행', 홈플러스의 '물가 안정 프로젝트', G마켓의 '빅스마일데이' 등 유통업체들이 다양하게 펼치는 할인 이벤트도 이런 식품 매출에 날개를 달아줬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신선식품과 간편식이 인기를 끄는 것은 고공행진 하는 외식 물가 영향이 크다고 업계는 분석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도는 현상이 2021년 6월 이후 35개월째 이어진 것이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