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년 미만 백혈병 환아…"CAR-T 치료 후 희망 봤다"

입력 2022-12-26 20:16


생후 1년 미만의 백혈병 환아에게 CAR-T 치료제를 적용하는 경우는 아직 드물다. CAR-T 치료는 환자 혈액에서 채집한 T세포에 암세포를 공격하는 물질을 붙여, 다시 환자 몸에 주입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 최연소 CAR-T 치료 환아(여, 18개월)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CAR-T 센터(주치의 임호준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교수)는 백혈병이 재발한 만 1세 B세포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아 이주아 아기에게 올해 10월 CAR-T 치료를 시행한 결과, 골수 검사에서 백혈병이 ‘완전 관해’되었으며, 현미경으로 보기 힘든 백혈병 세포를 검사하는 미세 잔존암 검사에서도 백혈병 세포가 0%로 측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백혈병 진단을 받은 환아는 지난해 7월 말 항암 치료를 받고 엄마의 조혈모세포까지 이식받았지만 백혈병은 재발했다. 기존 치료법으로는 남은 수명이 길어야 수개월인 상황이었다. CAR-T 치료에는 억대 비용이 들지만, 올해 4월 국내에서 보험 적용이 되면서 환자들이 혜택을 볼 수 있게 됐다.

생후 일 년 미만의 백혈병 환아에게 CAR-T 치료제를 적용한 경우는 드물었지만, 아기를 살릴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었다. 의료진은 올해 10월 CAR-T 치료를 시행했다. 부작용 우려를 위해 여러 진료과 의료진이 함께 아기를 보살폈고, 결국 백혈병은 완전 관해됐다. 국내 최연소 CAR-T 치료 사례가 된 셈이다.

백혈병은 우리 몸에서 피를 만들어내는 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되고 증식하면서 생기는 병이다. 정확한 발생 원인은 현대 의학에서 아직 알 수가 없다.

임호준 교수는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백혈병이 재발한 경우인데 CAR-T 치료가 급여화 돼 CAR-T 치료를 시도할 수 있게 되면서 치료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면서 “국내 소아 조혈모세포 이식 5건 중 1건을 시행하면서 쌓아온 소아혈액암 치료 경험과 CAR-T센터의 다학제 클리닉을 통해 안전하게 치료한 결과라고 생각하며 CAR-T 치료로 재발 가능성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주아가 계속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빠 이병훈 씨는 “병동에서나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을 때마다 웃음을 잃지 않고 견뎌 준 주아에게 매우 고맙고 항상 건강하게 자라주었으면 좋겠다"며 "매 치료 과정에서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이었는데, 주아를 위해 헌신해주신 서울아산병원 의료진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