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서울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들어 팬데믹 직후보다 공실률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18일 서울연구원의 '코로나의 서울 자영업 영향과 보편적 재난지원금 효과' 보고서와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0년 서울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가파르게 높아졌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 3.9%였으나 2020년 1∼4분기 각각 4.0%, 4.2%, 5.7%, 7.5%를 기록했다.
지난해는 1분기와 2분기 6.5%, 3분기와 4분기 6.7%, 올해는 1분기 6.2%, 2분기 6.1%, 3분기 6.3%로 집계돼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공실률이 가장 높았던 2020년 4분기(7.5%)를 팬데믹 직전과 비교하면 3.6%포인트 높아진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도심의 공실률이 2019년 4분기 3.5%에서 2020년 4분기 10.5%로 뛰었고, 소규모 상가가 밀집한 영등포·신촌도 같은 기간 2.9%에서 7.8%로 치솟았다.
강남은 코로나19가 발현한 2020년에도 그 이전과 비슷한 2%대 공실률을 유지하다가 2021년 3분기 5.4%, 4분기 4.9%로 높아졌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서울 자영업에 직접적 피해가 확인됐다"며 "특히 도심은 외국인 관광객 등의 영향력이 커 공실이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 매출이 급감한 것도 수치로 확인된다.
서울 지역 자영업의 연간 매출 증감률은 2018년 2.9%, 2019년 2.7%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0년은 감염 우려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2월까지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늘면 매출이 줄어드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2021년 3∼9월은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매출 간 상관관계가 약해졌다. 이는 영업 제한,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적 개입이 들어갔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이발소·미용실, 커피·음료점, 음식점, 목욕탕, PC방 등 대면서비스업과 관광여행사 등의 매출이 2019년 증가세에서 2020년 감소세로 전환했다.
(자료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