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자금시장 투자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인 기업어음(CP) 금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연 5.0%를 기록했다.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등급 A1 기준 CP 91일물 금리는 장중 연 5.0%로 집계됐다.
CP 금리가 연 5.0%가 된 건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지난 2009년 1월15일(5.0%) 이후 13년10개월 만이다.
최근 기업들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CP 시장에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20개사 은행장들은 9일 간담회를 갖고 "은행권이 자금 시장 안정을 위해 은행채 발행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CP, ABCP, 전단채 매입 및 환매조건부채권(RP) 매수,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규모 유지 등을 통해 자금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장들은 "5대 금융 지주의 95조원의 지원 계획 중 90조원이 은행을 통해 집행될 예정"이라면서, "제2금융권의 크레딧라인 유지에 어려움이 없도록 은행권이 최대한 협조할 예정이고 CP, ABCP 등 매입에도 나서는 등 단기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은행권이 국민 부담 경감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면서 자금이 실물 경제와 금융 시장에서 선순환할 수 있게 하고 취약 차주 지원 등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원활한 집행을 위해 지난달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 예대율 규제 완화 조치에 이어 증안펀드 출자금에 적용하는 위험가중치도 코로나19 당시와 동일하게 하향(250→100%)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급격한 금리인상 요인 외에 과도한 심리적 위축에 따른 신용경색 우려가 큰 상황인 만큼 자금흐름의 물꼬를 트는데 있어 정부의 시장안정 대책과 은행의 노력이 결합되면 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자금지원 및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대출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취약계층, 기업 등의 어려움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불가피하나, 은행들이 금리상승에 대한 대응과정에서 우리 경제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없을지 고민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