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1918년 이후 첫 외화표시 국채 디폴트"

입력 2022-06-27 09:15


러시아가 외화채 이자 지급에 실패하면서 1918년 이후 첫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러시아는 약정 시기인 지난 26일까지 투자자들에게 1억 달러(약 1,300억원) 수준의 외화표시 국채 이자를 투자자들에게 지급해야 했지만 서방 제재 영향으로 이를 이행하지 못했다.

블룸버그는 러시아의 디폴트가 "상징적인 것"이라고 평하고 "러시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앞서 워싱턴포스트는 러시아의 디폴트가 가져올 영향에 대해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26일(현지시각) "투자자들은 지난 몇 달간 러시아의 디폴트 상황을 예상해 왔다"며 "이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Moody's) 같은 평가기관들은 러시아 채무를 정크본드로 분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향후 러시아가 디폴트로 인해 신용등급이 낮아질 수 있지만, 여전히 공식적인 채무불이행 선언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달 7일, 은행과 투자펀드로 구성된 신용디폴트 결정위원회(credit Default Determination Committee)는 러시아가 지난 4월 4일 만기인 국채 이자 원리금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판결을 내렸지만 제재가 합의에 미칠 불확실성 때문에 추가 조치를 연기한 바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채무 불이행이 공식적으로 선언되기 위해서는 채권 보유자의 25% 이상이 돈을 받지 못했다고 문제제기 해야 하며, 이후 채권 보유자들이 지불을 강제하기 위해 법원의 판단을 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반적으로는 투자자와 채무불이행 정부가 채권자들에게 일부를 보상할 수 있는 새로운 채권 발행에 대해 협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