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70% 빚 갚는 데 쓴다…집 한 채에 발목 잡히는 청년층

입력 2022-06-21 19:04
수정 2022-06-21 19:04
<앵커>

앞으로 만 39세 이하 청년층은 장래소득을 반영해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연소득이 높게 잡히기 때문에 대출한도를 더 늘릴 수 있는데요.

다만, 월급의 최대 70% 가량을 고스란히 빚 갚는 데 써야해서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는 3분기부터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는 주택 지역과 가격에 상관 없이 LTV 80%를 적용받습니다.

여기에 만 39세 이하 청년층이라면 장래소득 증가율을 반영해 대출한도를 더 늘릴 수 있습니다.

실제 한국경제TV 시뮬레이션 결과, 연령ㆍ연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소득증가율을 반영하지 않았을 때보다 최대 1억9천만원 가량은 더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마련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30대 초중반은 대출한도를 최대 7,200만원 가량 더 늘릴 수 있습니다.

문제는 과도한 원리금 상환 부담입니다.

매달 월급의 최대 70% 가량을 빚 갚는 데 써야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현재 소득수준 대비 상환부담은 더 커집니다.

장래소득증가율 반영 시 만약 금융회사가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대출금리를 높게 산정한다면 이자부담은 이보다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올해 안으로 연 7~8%대로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주택구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대출한도를 늘려주는 그런 정책을 쓰는 것인데, 금리가 높아지면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고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볼 수 있죠.]

전문가들은 청년을 위한 내집 마련 혜택이 오히려 가계부채 부실화를 키울 수 있다며, 소득증가율 적용 여부는 차주의 선택이지만 원리금상환액이 장기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를 잘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