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줄하향'...인플레 여파에 전망치 달성 마저 '위태'

입력 2022-06-08 19:03
수정 2022-06-08 19:03
<앵커>

통화당국에 이어 주요 국제경제기구들이 잇따라 국내 성장률 전망에 대한 하향조정에 나서면서 당초 제시했던 성장률 달성마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수출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5%에 육박하는 고물가 여파에 민간소비 개선 마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정희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IMF에 이어 한국은행과 OECD도 연이어 한국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에 나서며 만만치 않은 인플레 여파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OECD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2월 대비 0.3%포인트 하향 조정했고 물가상승률은 두 배나 높여잡았습니다.

앞서 올해 한국의 GDP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수정했던 국내외 주요기관들 역시 경제성장률은 3% 아래로, 물가상승률은 4%대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은 1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 잠정치를 0.6%로 지난 4월 공개한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하향조정했습니다.

국내외 연구기관들의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진데 이어 1분기 성장률마저 하향조정 되면서 당초 제시됐던 성장률 전망치 달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수출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경제성장을 이끌 동력은 결국 민간소비인데 물가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고 있어 이 마저도 여의치 않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고물가 기조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달아 인상한다면 결국 이자부담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GDP대비 100%가 넘어가고 있거든요. 선진국들은 60~70%에 불과한데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에 대한 이자상환부담이 늘어날 것이고 그만큼 소비여력이 위축되는 것이니까요. 소비회복 여부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고 성장률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투자가 뒷받침 돼야 한다고 분석합니다.

[이상호 /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조사팀장: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투자가 절실한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기업투자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과감하게 규제를 혁파하고 기업의 세부담을 적극적으로 낮춰서 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가장 필요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 ]

결국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투자를 확장하고 연구개발 능력을 확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면 고용 증가와 맞물려 가계의 실질적인 구매력역시 뒷받침 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한국경제TV 정희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