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오미크론 넘을 수 있어…일상회복 마지막 고비"

입력 2022-02-07 10:26
수정 2022-02-07 13:35
7개월 만에 중대본 회의 직접 주재
"긴장 높이되 지나치게 두려워할 필요 없어"
"이제부터가 오미크론 진짜 시험대"
"동 트기 전 가장 어둡다…마지막 고비"


문재인 대통령이 "지금까지 보여준 우리 국민의 성숙한 시민의식, 우리 방역과 의료역량의 우수성이 십분 발휘된다면 오미크론 변이도 충분히 넘어설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7일 오전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확진자 수가 얼마까지 늘어날지, 정점이 언제가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엄중한 상황"이라며 "하지만 긴장도는 높이되 지나치게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이 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K-방역'의 성과를 언급하며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가 무려 4억 명, 누적 사망자 수가 600만 명에 이르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인구비례 누적 확진자 수와 누적 치명률 모두 세계 최저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오미크론에 맞춘 방역과 의료체계의 선제적 준비, 사전 병상 확충과 3차 백신접종, 먹는치료제 조기 도입 등을 언급하며 "그 결과,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서도 한때 1,000명이 넘었던 위중증 환자 수를 200명 대로 줄이고, 중증 병상 가동률을 20% 이하로 유지하며 의료 대응 여력을 높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제부터가 오미크론 대응의 진짜 시험대"라며 "오미크론 대응체계를 계획대로 전면 가동하면서 보완의 필요성을 점검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전파력이 강한 반면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 특성에 맞게 속도와 효율을 높여 고위험군 관리에 역점을 두고 위중증과 사망 위험을 막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며 "확진자 수가 증가하더라도 위중증과 치명률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의료 대응 여력을 유지해 나간다면 성공적으로 이 고비를 넘어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새로운 검사체계와 치료체계에 있어 정부, 지자체, 의료계의 합심을 당부했으며,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도 주문했다. 또 "2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로 인한 상처가 깊다"며 의료진과 방역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국민들에게 위로와 감사의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상황에 대해 "동이 트기 전이 가장 어둡고, 봄이 오기 전이 가장 춥다고 한다"며 "일상회복으로 가는 마지막 고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정부를 믿고 함께 힘을 모아주신다면 우리는 더 빠르게 일상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