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 NFT 역량 키우는 中…"가상화폐 의존 탈피"

입력 2022-01-26 15:20


중국 정부가 후원하는 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가 일부 서비스를 시작했다.

2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영기업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이온페이와 관영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가 후원하는 BSN은 글로벌 시장과 분리된 독자적인 대체불가토큰(NFT)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BSN-DDC'를 구축한다.

가상화폐가 불법인 중국에서 BSN은 어떤 가상화폐와도 연계되지 않는 NFT 인프라를 구축해 기업이나 개인이 NFT를 발행·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BSN은 전날 'BSN-DDC' 서비스 부분 개시를 알리면서 "기업들이 가상화폐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NFT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게 다양하고 투명하며, 신뢰할만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식 론칭은 3월말로 계획한다고 전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것이다. 영상·그림·음악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만들 수 있어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NFT 열풍 속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들도 NFT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관영 통신 신화사도 작년 한해 동안의 보도사진을 담은 디지털 수집물 10만여점을 발행했다.

다만 중국 기업들은 NFT 상품을 내놓으면서 'NFT'가 아니라 '디지털 수집물'(digital collectibles)이라 부르고 있다. 정보기술(IT) 업계에 대해 강도 높은 규제를 가하는 중국 당국과의 갈등 가능성을 피하려는 선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정부는 가상자산을 통한 투기나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NFT 상품을 수익을 위해 되파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또 강력한 통제와 관리를 중시하는 중국 정부는 가상화폐가 익명성과 권한 분산을 추구하고 불법 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며 모든 종류의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했다.

이에 BSN은 기존 블록체인의 응용 버전으로, 지정된 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개방된 허가받은 블록체인'(OPB·open permissioned blockchains)을 활용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결제는 가상화폐가 아닌, 위안화 등 법정화폐로만 할 수 있다.

BSN의 기술지원을 맡은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의 허이판 CEO는 현재 NFT가 대부분 예술작품 인증에 사용되고 있지만 가장 큰 시장은 차량 번호판 등의 허가 관리 사업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NFT를 통해 차량 소유주와 정부, 보험사가 마일리지, 엔진번호, 정비 이력 등의 데이터에 접근해 공동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