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인상보다 유럽 통화정책 정상화 주의해야"

입력 2021-12-14 15:25
수정 2021-12-14 15:41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보다 유럽 통화정책의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경고가 나왔다.

안재빈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14일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미국금리 전망과 한국 정책과제' 심포지엄에서 "11월부터 시작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면서도 "2013년 '긴축발작'의 경험에서 연준은 충분한 시그널링을 통해 시장과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 혼란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 교수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연준이 아니라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방향"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연준과 달리 ECB는 당분간 테이퍼링, 금리 인상 계획이 없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독일 등 유로지역의 물가가 급등하는 만큼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지면 금융시장의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금리 정책과 선별적이고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의 조합을 통해 정책 유효성을 키워야 한다"며 "물가·금융 안정을 위한 금리 인상과 취약부문·성장지원을 위한 선별적 통화정책 활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