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50년 수소로만 매출 30조 달성할 것"

입력 2021-09-08 17:17


포스코가 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역량을 결집해 2050년 수소로만 매출 30조 원을 달성하겠다고 했다.

이는 지난해 포스코그룹의 연결 기준 매출액(약 58조 원) 대비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포스코는 8일 개막한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서 2050년까지 연간 500만 톤에 달하는 수소 생산 체제를 갖추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포스코가 수소 생산을 극대화하는 건 '수소환원제철' 때문이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강 업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필수 기술로 꼽힌다.

포스코는 현재 포항에서 상용 가동 중인 파이넥스(FINEX)의 수소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가며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

향후 10~20년 내에 파일럿 테스트와 기술 개발을 마치고, 기존 고로 설비를 수소환원제철 설비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2050년까지 상용화를 완료하는 것이 회사 설명이다.

포스코에 따르면, 수소환원제철이 상용화되면 포스코 자체 수소 수요만 연간 375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포스코에너지 발전소를 수소·암모니아 발전소로 전환할 경우 추가 100만 톤 이상의 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이 같은 대규모 내부 수요를 기반으로 2050년까지 전 세계에 걸쳐 가장 경쟁력 있는 그린수소 500만 톤 생산 체제를 갖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내부 수요를 충족함과 동시에 대외에도 판매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수소 수요처이자 공급자가 되겠다는 것이다.

최정우 회장은 "국가의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포스코가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 우리는 CO2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철강 제조 공정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